차이콥스키: 호두까기 인형 op. 71
- 장르: 관현악곡
- 작곡가: 차이콥스키 (TCHAIKOVSKY)
- 작품명: 호두까기 인형 op. 71 (The Nutcracker op. 71, 러시아어로 Щелкунчик)
차이콥스키의 발레 음악 중 백조의 호수, 잠자는 숲 속의 미녀와 함께 가장 유명한 3곡 중 하나. 이들 작품은 차이콥스키를 발레 음악 역사상 가장 중요한 작곡가로 만든 작품이며 작곡가의 마지막 발레음악으로 작곡되었다.
역사
- 작곡 연도: 1891년 1월 - 1892년 4월 18일 완성
- 작곡 장소: 모스크바 근교의 크린
- 가사/대본/원작: 1815년 독일의 작가 호프만(E. T. A. Hoffman)이 쓴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 왕"이 발레의 원작으로 작곡하였지만 발레 제작에 실제 사용된 것은 프랑스 작가 듀마 피스(A. Dumas Fils)가 수정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마린스키극장의 수석 안무사인 프티파가 2막 3장의 발레로 구성하였다. 그가 병으로 완성하지 못하자 다시 이바노프가 수정을 더했다.
- 출판/판본: 1892년. 자필 총보: 러시아 글린카 기념 중앙박물관 소장. 원전판 총보: 소비에트-차이콥스키 전집판
- 계기: 1890년 황실 마린스키극장 감독관 오세볼로쥬스키가 의뢰하였다. 작곡자는 호프만의 러시아어 번역을 미리 읽어보았지만 발레로 작곡하기에는 별다른 흥미를 주지 못했다. 그러나 프티파가 대본을 수정하면서 각 장면에 맞는 리듬과 템포 등의 세밀한 설계를 완성하자 다시 창작 의욕이 되살아기 시작했다. 이 시기의 작곡가는 육체적, 정신적으로 매우 핍박한 상황이었으나 마린스키극장과의 오랜 관계를 생각해서 작곡을 시작하였다.
- 초연 연도: 1892년 12월 18일
- 초연 장소: 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극장
- 초연자: Riccardo Drigo 지휘, Lev Ivanov 안무
악기 편성
- Strings: violins I, violins II, violas, cellos, double basses
- Woodwinds: 3 flutes (2nd & 3rd doubling on piccolo), 2 oboes, English horn, 2 clarinets in B-flat and A, bass clarinet in B-flat and A, 2 bassoons
- Brass: 4 horns in F, 2 trumpets in A and B-flat, 3 trombones (2 tenor, 1 bass), tuba
- Percussion: celesta, timpani, snare drum, cymbals, bass drum, triangle, tambourine, castanets, tam-tam, glockenspiel, toy instruments (rattle, trumpet, drum, cuckoo, quail, cymbals, rifle)
- Other: 2 Harps
줄거리
- 1막
스타르파움 부부가 하인과 함께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하며 파티를 준비하고 있으며 프리츠와 클라라가 크리스마스 트리를 둘러싸고 춤을 춘다. 아이들이 춤을 추는 사이 응접실에는 손님들이 점차 도착하기 시작한다. 이윽고 아이들의 춤이 멈추면 드로셀마이어 노인이 등장하여 아이들에게 선물을 준다. 시간이 흘러 아이들의 취침시간이 되자, 아이들은 선물로 받은 인형을 가지고 침실로 향하지만 부모에게 거절 당한다. 이에 노인은 다시 호두까기 인형을 아이들에게 준다. 모든 파티가 끝나고 집안 전체가 잠에 빠진다. 클라라와 프리츠, 두 아이도 각자 침실로 향하지만 클라라는 다시 호두까기 인형을 찾으러 집안을 살피기 시작한다. 12시를 알리는 시계소리와 함께 환상의 세계로 상황은 돌변한다. 갑작스럽게 병사인형과 생쥐들 사이에 다툼이 일어나 치열하게 싸운다. 클라라의 결정적인 도움으로 인형들이 승리를 거둔다. 이에 보답코저 인형들을 지휘하던 호두까기 인형은 왕자로 바뀌고 자신의 왕국으로 클라라를 초대한다. 이후 왕자의 왕국으로 가는 여정이 시작된다. 겨울의 솔밭을 지나고 눈의 왕국까지 지나게 된다.
- 2막
드디어 왕자가 살고 있던 마법의 성에 도착한다. 왕자는 클라라를 자신의 생명의 은인으로 여왕에게 소개한다. 이후 클라라를 환영하는 축제가 시작된다. 먼저 초콜릿, 스페인의 춤 - 커피, 아라비아의 춤 - 차, 중국의 춤 - 트레파크, 러시아 민속춤 - 풀피리의 춤 - 폴리시넬들의 춤 등이 이어진다. 사탕요정의 시녀들이 꽃의 왈츠를 추면서 분위기는 더욱 고조된다. 왕자와 클라라가 춤을 추고 이어서 왕자와 여왕이 춤을 추며 마지막으로 모두가 함께 춤을 추면서 발레는 끝난다.
막/장면 구성[1]
1막
- 1장: 길에서
1900년 12월 24일. 많은 사람들이 기분좋게 크리스마스 축제를 즐기고 있다.
- 2장: 집에서
슈탈바움 가의 시민적인 집에 그 집의 친구들과 아이들이 모여 있다. 슈탈바움 부부가 손님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대부 드로셀마이어가 선물을 잔뜩 가지고 도착한다. 그가 작은 인형극과 마술을 부려서 아이들을 즐겁게 해 준다. 클라라, 그녀의 오빠 프리츠와 언니 루이자가 변장을 하고 – 드로셀마이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 자동장치 놀이를 하고 있다.
- 3장: 크리스마스 트리
드로셀마이어가 클라라에게 멋진 장난감을 선물한다. 늠름한 헝가리 기마병의 모습을 한, 나무로 만든 호두 까는 도구이다. 샘이 난 프리츠가 호두까기 인형을 부러뜨린다. 클라라가 운다. 드로셀마이어가 프리츠를 쫓아보내고, 장난감을 고쳐서 클라라에게 다시 준다.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온다.
- 4장: 꿈
녹초가 된 클라라가 의자에 앉아서 꾸벅꾸벅 졸고 있다. 시계가 자정을 알린다. 그때 벽난로와 여기저기 구석에서 쥐들이 방 안으로 들어온다. 클라라가 기겁을 하고 놀란다; 그녀가 온힘을 다해 저항하면서 작은 호두까기 인형을 지키기 위해 자기 인형들을 던진다.
왕이 오자, 쥐들이 두 배는 더 힘차게 공격해 온다. 납으로 만든 장난감 병정들이 저들의 성에서 나온다. 전투가 시작된다. 쥐들이 더 세다. 이때 기마부대가 – 다시 살아난 호두까기 인형의 진두지휘를 받으며 나타난다. 격렬한 싸움이 벌어진다. 쥐들의 왕이 진다.
- 5장: 눈의 왕국에서
마술이라도 부린 듯, 무대미술이 바뀐다: 살롱이 아름다운 겨울풍경 위에 펼쳐진다. 호두까기 인형이 작은 기계 기마병의 외모를 상실하고 아름다운 청년의 모습을 띄고 있는데, 희한하게도 드로셀마이어를 닮았다.
그가 클라라에게 눈송이가 한창 쏟아져 내리는 가운데 춤을 추자고 한다.
2막
- 1 장: 집에서
클라라는 아직 왕자와의 달콤한 꿈에 빠져 있다. 눈풍경이 다시 슈탈바움 가의 살롱으로 바뀐다.
- 2장: 악몽
이때 클라라는 다시 끔찍한 일을 겪게 된다: 박쥐들이 그녀를 공격해 와서 호두까기 인형을 탐낸다. 드로셀마이어/왕자가 클라라를 진정시키려고 애쓴다: 모든 것이 상상일 뿐이며, 엄마아버지와 손님들을 무서워할 필요가 없다고!
- 3장: 여행
클라라는 아직도 완전히 흥분을 가라앉히지 못 했는데, 가족들과 손님들이 먼 나라에 가 있는 것이 보인다: 프리츠와 루이자는 스페인에, 할머니와 할아버지는 아랍에, 아버지와 엄마는 러시아에, 손님들은 중국이나 마리 앙뜨와네트의 전원시의 무대인 프랑스에 가 있다…
- 4장: 무도회에서
클라라가 무도회에서 왕자와 춤을 추고 있다.
- 5장: 클라라가 잠에서 깨어나다
슈탈바움 부부가 파티 중에 손님들 사이에서 잠이 든 클라라를 깨운다. 손님들이 천천히 귀로에 오른다.
- 6장: 길에서
클라라가 약간 어리둥절해 하며 혼자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