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루크: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
그리스-로마 신화의 내용을 극화한 오페라.
글루크는 그리스 신화 중 비극들을 극화한 시인 에우리피데스의 작품 중 이피게네이아가 주인공인 두 편의 작품인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와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를 모두 오페라로 만들었으며 본 오페라는 그 중 전편에 해당하는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를 텍스트로 하여 작곡했다.
두 작품 중 후편인 글루크: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가 더 자주 연주된다.
R. 슈트라우스: "엘렉트라"의 이전 이야기.
신화의 역사적 순서 상으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글루크: "아울리스의 이피게니아" - R. 슈트라우스: "엘렉트라" - 글루크: "타우리스의 이피게니아"
역사
- 작곡 연도:
- 작곡 장소:
- 헌정, 계기:
- 초연 연도:
- 초연 장소:
- 초연자: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 아가멤논
- 클뤼템네스트라
- 이피게니아 (그리스 원어로는 이피게네이아)
- 아킬레스 (그리스 원어로는 아킬레우스)
- 아르테미스 (디아나) 여신
막/장면 구성
그리스 미케네의 왕 아가멤논이 사냥의 여신 디아나 (Diana, 그리스 신화의 아르테미스)의 진노를 사서 (보통은 신의 사슴을 쏘아 잡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바람이 전혀 불지 않았으므로, 트로이 원정 길에 나선 그리스 군대가 아울리스항(港)에서 2년 동안 출항할 수 없었다. 아가멤논 왕은 예언자 칼카스의 의견에 따라 큰 딸 이피게니아를 디아나 여신에게 희생으로 바치게 되었다.
그녀는 영웅 아킬레우스와 결혼시킨다는 구실로 고향에서 불려와, 여신의 제단에 산제물로 바쳐질 뻔하였으나, 그녀를 불쌍히 여긴 디아나 여신이 한 마리의 사슴을 그녀 대신 제물로 바치고 그녀를 흑해(黑海) 연안의 타우리스로 데려다가 여신의 신관(神官)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