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든: 교향곡 96번 D장조 "기적"
역사
- 작곡 연도: 1791년 (자필악보에 의함)
- 작곡 장소: London
- 출판/판본: 파트보: 1795년 오펜바흐의 앙드레사. 자필악보: 런던 브리티시 박물관(로열 필하모닉 협회) 소장
- 헌정, 계기: 교향곡 92번과 형식적으로 유사함. 표제의 근거는 없으며 교향곡 102번 초연시 샹들리에가 떨어졌기 때문에 이 사실이 와전됨.
- 초연 연도: 1791년 3월 11일
- 초연 장소: Hanover Square Rooms, London
- 초연자: 작곡자 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 2, 오보에 2, 파곳 2, 호른 2, 트럼펫 2, 팀파니, 현5부(2악장 독주 바이올린)
악장 구성
- 1악장 Adagio — Allegro, 서주부는 아다지오 D장조 3/4박자. 으뜸화음의 펼침하강하는 시작동기는 관악기 합주로 시작함. 주요부는 알레그로 D장조 3/4박자, 소나타 형식. 제1 주제는 4마디씩 2악절로 구성되며 4개의 주요 동기로 구성됨. 현악과 파곳으로 제1 주제가 제시되며 오보에가 다시 반복함. 코데타는 제1 바이올린과 오보에가 연주하는 종결 주제로 구성됨. 제2 주제는 3개 부분으로 구성됨. 첫번째 부분은 A장조의 딸림음의 상향형으로 구성된 4마디로 이루어짐. 두번째 부분은 6마디로 제1 주제의 한 부분이 사용됨. 마지막 부분 역시 제1 주제의 단편이 사용되어 제2 주제 전체는 제1 주제에서 파생됨. 발전부는 3개의 부분으로 구성됨. 제1 부분은 B단조로 제1 주제와 종결 주제로 구성됨. 제2 부분은 C장조로 종결 주제가 사용됨. 재현부는 제1 주제의 종결 주제를 중심으로 재현됨.
- 2악장 Andante, G장조 6/8박자, 3부분 형식. 춤곡 형식으로 4마디의 주제가 사용됨. 제1 부분은 주제와 경과부, 주제의 재현으로 구성됨. 제2 부분은 G단조로 2중 대위법이 사용됨. 제3 부분은 유니즌의 합주로 시작함.
- 3악장 Menuetto: Allegretto, D장조. 강약 대조를 위해 구성된 악센트로 꾸밈. 트리오는 독주 오보에가 선율을 진행함.
- 4악장 Finale: Vivace, D장조 2/4박자, 3주제의 론도 형식. 론도 주제는 각부 반복기호를 지닌 2부로 구성됨. 경과부는 투티의 D단조로 시작함. 제1 에피소드 주제는 F장조(D단조의 병행조)로 제시함. 제2 에피소드 주제는 하강선율로 구성됨. 코다는 론도 주제의 부수 동기에 기초한 구성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