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디오 아바도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클라우디오 아바도 (Claudio Abbado)와 카렐 안체를 (Karel Ančerl), 1968년

클라우디오 아바도 (Claudio Abbado, 출생: 1933/06/26, Milano, Italy - )은 이탈리아의 지휘자이다.

생애

1933년: 1933년 6월 26일 밀라노에서 음악가였던 미켈란젤로 아바도와 작가였던 마리아 카르멜라 아바도 사이에서 태어남.

1949 - 1955 : 밀라노의 쥬세페 베르디 음악원에서 지휘, 피아노, 작곡 등을 공부함

1956년: 빈에서 베베른의 제자인 한스 스바로프스키에게서 지휘 사사

1958년: 탱글우드에서 쿠세비츠키 상 수상

1959년: 트리에스트 필하모니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며 콘서트데뷔무대를 갖다.[연주곡명은 힌데미트의 '고귀한 환영(Noblissima Visione)']

1960년: 스카를라티 기념 연주회(Commemorazione Scarlatti) 지휘를 통해 밀라노 스칼라 가극장에 데뷔

트리에스트에서 페데리코 게디니의 '알렉산드리아의 마리아'를 지휘하여 오페라 데뷔

빈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를 통해 빈에 데뷔

1960-1963 : 지휘자와 피아니스트로서 동시에 활동하면서 파르마 음악원에서 실내악 강사로도 재직

1961년: 프로코피에프의 '세 개의 오렌지의 사랑'을 트리에스트에서 지휘

1963년: 뉴욕에서 열린 미트로폴로스 지휘 콩쿨 우승

베를린 방송 교향악단(Radio-Symphonie Orchester; 현 DSO Berlin)를 지휘하여 베를린 데뷔. 협연자 폴리니와 함께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3번 등을 공연했음

1964년: 베를린 방송 교향악단과의 두 차례 콘서트[연주곡명은 베르크의 '룰루' 모음곡 등]

1965년: 밀라노에서 말러의 교향곡 2번 지휘

맨체스터의 할레 오케스트라 지휘를 통해 영국 데뷔

밀라노에서 지아코모 만쪼니의 오페라 '아톰토드' 초연

1966년: 벨리니의 '카풀렛과 몬테규 가'로 밀라노 스칼라에서 오페라 데뷔[연출: 카스텔라니]

베를린 필과 런던 심포니를 처음 지휘

에딘버러 축제에 뉴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데뷔[연주곡명은 말러의 교향곡 6번]

1967년: 함부르크에서 노노의 '단절된 노래'(Il canto sospeso) 지휘.

마르타 아르헤리치와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처음으로 녹음.

런던에서 베르디의 '돈 카를로' 지휘[연출: 루치노 비스콘티]

1968년: 스칼라 가극장에 음악감독으로 취임

베르디의 '돈 카를로'로 메트로폴리탄 가극장 데뷔

밀라노 스칼라 가극장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말러의 교향곡 전곡 연주회 개최

1970년: 1970/1971 시즌에 베르크 치클루스를 개최하여 베르크의 관현악 작품 전곡과 오페라 '보체크' 지휘

1971년: 지오르지오 스트렐러 연출로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를 스칼라 가극장에서 지휘

도이치 오퍼 베를린과 함께 오토 셍크 연출의 베르디 '아이다' 지휘

1972년: 마우리찌오 폴리니와 함께 '우리 시대의 음악'(Musica nel nostro tempo) 프로젝트를 기획.

노노의 '힘과 빛의 물결처럼'(Como una ola de fuerza y luz)을 초연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 지휘자가 됨

1973년: 레지오 에밀리아에서 노노, 폴리니와 함께 '음악과 현실'(Musica/Realta) 씨리즈를 시작함

빈 필과 함께 일본과 한국으로 연주여행[프로그램은 베토벤 교향곡 3번 등]

1974년: 베를린 축제주간에 빈 필과 함께 등장[프로그램은 쇤베르크의 '바르샤바의 생존자', 베베크의 세 개의 관현악 모음곡, 베베른의 파사칼리아, 브루크너의 교향곡 7번], 이후 정기적으로 베를린 축제주간에 참가

1975년: 노노의 '위대한 밝은 햇살 아래 사랑'(Al gran sole carico d'amore)를 초연[연출: 유리 루비모프]

애버딘에서 개최된 청소년 오케스트라 국제 페스티발에 참가

1978년: 유럽 공통체(EC) 청소년 오케스트라를 창립하고 상임지휘자가 됨

1979년: 유리 루비모프 연출로 무소르그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를 밀라노에서 지휘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수석지휘자가 됨

1981년: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 창설을 주도하고 음악 어드바이저가 됨

1982년: 스칼라 가극장 오케스트라를 모체로 한 스칼라 필하모니카 오케스트라를 창설하고 수석지휘자가 됨.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수석 객원지휘자가 됨

1983년: 런던 코벤트 가든에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연출로 무소르그스키의 '보리스 고두노프'를 무대에 올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으로 취임

1984년: 베니스에서 노노의 '프로메테우스'를 초연

페사로에서 개최된 롯씨니 축제에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참여해 '랭스에의 여행'을 지휘[연출 : 루카 론코니].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로 빈 국립가극장에 데뷔

클라우스 헬무트 드레제의 후임으로 빈 국립가극장 음악감독으로 내정

1985년: 밀라노에서 노노의 '프로메테우스'를 다시 연주

런던에서 개최된 '말러, 비엔나, 20세기' 축제의 예술감독으로 활동

1986년: 드뷔시 치클루스 프로그램이었던 드뷔시의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지휘를 끝으로 스칼라 가극장 음악감독에서 물러남

빈 국립가극장 음악감독 활동을 개시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오케스트라를 창설

1987년: 빈의 음악총감독(Generalmusikdirektor)으로 임명

'빈 모데른'을 창설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오케스트라와 함께 유럽 연주여행

1988년: '빈 모데른' 축제를 시작함

빈 축제주간에 슈베르트의 피에라브라스[연출 : 루트 베르크하우스] 지휘. 볼프강 림의 '출발'(Die Abreise) 초연

빈 국립가극장을 이끌고 베를린 공연[아돌프 드레젠 연출로 보체크를, 지오르지오 스트렐러 연출로 시몬 보카네그라를 공연]

발트뷔네에서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 오케스트라와 유럽 공동체 청소년 오케스트라와 함께 말러의 교향곡 3번 공연[독창자는 제시 노먼]

베를린 축제주간에 필하모니홀에서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 오케스트라와 함께 쇤베르크의 '구레의 노래' 지휘

신축된 베를린 캄머무지크잘의 '상주 오케스트라'가 된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첫 시즌을 보냄

1989년~2002년 베를린 필 상임 지휘자 시절

1989년: 무소르그스키의 '호반시치나'를 빈 국립가극장에서 지휘[연출: 알프레드 키르히너]

이 해 7월 16일 타계한 카라얀의 후임으로 10월 8일 베를린 필의 예술감독 및 수석지휘자로 단원들에 의해 선출

12월 16, 17일 양일간 슈베르트의 '미완성 교향곡'과 말러의 교향곡 1번으로 예술감독으로서의 첫번째 연주회를 지휘

페라라 무지카와의 공동 작업을 시작했으며,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가 페라라 무지카의 '상주 오케스트라'가 됨

1991년: '빈 모데른'에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추모전을 개최. 노노의 '길은 없다, 그저 걸어야 하리...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쿠르타크의 '사무엘 베케트-무슨 말인가', 베아트 푸러의 '열(熱)의 얼굴', 볼프강 림의

'모습없이/길없이' 등을 안톤 베베른 앙상블(구스타프 말러 유겐트오케스트라 출신으로 구성된 단체)에 의해 연주.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연출의 '보리스 고두노프'를 빈 국립가극장에서 지휘

빈 국립영화관에서 필름회고전, '아이젠슈타인에서 타르코프스키까지' 개최

베를린 필과 함께 모스크바, 페테르스부르크로 연주여행

베를린에서 첫번째 테마 기획전이 된 '프로메테우스' 치클루스 개최

1992년: 쇤베르크의 '구레의 노래'를 지휘하여 개수된 베를린 필하모니홀에서 첫 연주회를 가짐

잘츠부르크 축제에서 빈 필과 함께 야나첵의 '죽은 자의 집으로부터'[연출:클라우스 미하엘 그뤼버]를 지휘

1993년: 베를린에서 횔더린 치클루스를 개최

1994년: 숄티 후임으로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의 예술감독으로 취임

'보리스 고두노프'를 베를린에서 연주회 형식으로,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서 헤르베르트 베르니케의 연출로 무대에 올림(동년 잘츠부르크 축제에서는 빈 필과 공연).

베를린에서 파우스트 치클루스를 개최

1995년: 1994/1995 시즌에 그리스 비극 치클루스

R.슈트라우스의 엘렉트라를 베를린에서 연주회 형식(1994)으로,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서 무댕 올림[연출:레프 도딘]

1996년: 1995/1996 시즌에 셰익스피어 치클루스 개최

베르디의 '오텔로'를 베를린과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 공연[연출:에르마노 올미]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오케스트라 졸업생으로 구성된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를 창설.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는 유럽 챔버 오케스트라의 뒤를 이어 페라라 무지카의 '상주 오케스트라'가 됨

1997년: 1996/1997 시즌에 베르크=뷔히너 치클루스 개최

베르크의 보체크를 페터 슈타인 연출로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서 공연(잘츠부르크 축제에서는 빈 필과 함께 동일 연출로 공연)

1998년: 1997/1998 시즌에 '방랑자 치클루스' 개최

조나단 밀러 연출로 베르디의 '팔스타프'를 베를린 국립가극장에서 공연

액상 프로방스 축제에 피터 브룩 연출로 모차르트의 돈 죠반니를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공연

1999년: 1998/1999 시즌에 '사랑과 죽음(트리스탄 편)' 치클루스를 개최.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클라우스 미하엘 그뤼버의 연출로 공연.

페라라 무지카에서 말러 챔버 오케스트라와 함께 베르디의 '팔스타프' 공연.

'카라얀 추모 콘서트' (잘츠부르크에서 개최) 지휘.

2000년: 마리오 마르토네 연출로 모차르트의 '코지 판 투테'를 페라라에서 연주함

1999/2000 시즌 베를린에서 '사랑과 죽음(지중해 편)' 치클루스 개최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서 베르디의 '시몬 보카네그라'를 지휘[연출:페터 슈타인]

베를린 필과 일본 연주 여행[프로그램은 바그너의 '트리스탄과 이졸데']

2001년: 2000/2001 시즌 팔스타프 치클루스를 열다

로마와 빈에서 베를린 필과 함께 베토벤 치클루스를 열다.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서 팔스타프 지휘

2002년부터 현재까지

2002년: 2001/2002 시즌에 '여기서 시간은 공간이 된다' 파르지팔 치클루스 개최

바그너의 '파르지팔'을 베를린에서 연주회 형식으로, 잘츠부르크 부활절 축제에서는 페터 슈타인 연출로 무대에 올림.

구스타프 말러 유겐트 오케스트라와 함께 여름 연주여행. 에딘버러, 프롬, 루체른 축제 등을 돌려 바그너의 '파르지팔' 등을 연주.

4월 24, 25, 26일 삼일간의 베를린 공연으로 베를린 필의 예술감독이자 상임지휘자로서의 의무를 베를린에서 끝마침[프로그램은 쇼스타코비치의 영화음악 '리어왕']

베를린 필과의 이탈리아-빈 연주여행 마지막 무대였던 빈 무직페라인 잘에서의 말러의 교향곡 7번으로 베를린 필의 상임지휘자로서의 마지막 연주회를 가짐.

독일연방대통령 요하네스 라우를 통해 대(大)연방공로십자훈장이 수여됨

클라우디오 아바도는 베를린 필의 콘서트를 2003년 현재까지 총 618회 지휘했으며 이중 36회의 콘서트는 1966년부터 1990년까지 객원지휘의 형태로, 1989년부터 2002년까지 예술감독으로서 재직하며 286회는 베를린에서, 296회의 콘서트는 연주여행기간 동안에 지휘했다.

2003년: 루체른 축제에 새로 조직된 루체른 페스티발 오케스트라를 통해 참가[프로그램은 말러의 교향곡 2번, 바그너의 발퀴레 중 '보탄의 고별' 등]

2004년: 유명연주자들을 구성원으로 하는 '모짜르트 오케스트라'를 창설하고 볼로냐의 만쪼니 극장에서 연주회를 개최함.

음악

지휘자로서의 업적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게시판 링크

외부 링크

  1. DG의 아티스트 사이트
  2. Club Abbadiani Itineranti
  3. 클라우디오 아바도 디스코그래피 (이태리어)
  4. 위키피디아 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