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콥스키: 현악 세레나데 C장조 op. 48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 작곡 연도: 1880년 9~10월
  • 작곡 장소: 우크라이나의 카멘카
  • 헌정, 계기: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인 알브레히트 (Konstantin Albrecht). 수년 전에 작곡된 "모차르티아니"의 성격을 이어받음. 1880년 전후에 작곡된 관현악들은 바로크와 고전파의 형식을 탐구하는 형태임. 원래 의도는 모음곡으로 작곡될 의도였음.
  • 출판: 1881년, 유르겐손 출판사.
  • 초연 연도: 1881년 10월 30일 (비공식: 1880년 12월 15일)
  • 초연 장소: 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음악협회 연주회. (비공식: 모스크바 음악원)
  • 초연자: 나프라브니크 지휘 (비공식: 니콜라이 루빈슈타인 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현 5부

악장 구성

  • 1악장 Pezzo in forma di sonatina (소나티네 형식의 소품): Andante non troppo - Allegro moderato, C장조, 6/8박자.


  • 서주는 안단테 논 트로포이며, 주부는 알레그레 모데라토이며 발전부가 없는 소나타 형식으로 진행함. 코다도 서주부분의 주제가 다시 사용됨. 모차르트적인 양식과 악상 구성으로 진행함.
  • 첫부분의 3개 음표는 A단조로, 병행조에서는 으뜸조의 C장조로 변화하면서 주제를 변형함. 주제는 2/4박자의 패시지와 함께 악기를 번갈아 가면서 3회 반복 연주됨. 이후 주부의 제1주제가 바이올린으로 제시됨.
  • 이후 제1주제는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의 피치카토로 전개됨. 제2주제는 G장조로, 저음현의 피치카토 위에 바이올린, 비올라가 선율을 제시함.
  • 발전부가 없기 때문에 바로 재현부로 이어지며, 제2주제가 으뜸조의 C장조로 이어짐. 재현부는 제시부의 형태와 거의 흡사함. 코다는 서주부의 주제가 다시 사용됨.


  • 2악장 Valse (왈츠): Moderato. Tempo si valse, G장조, 3/4박자, 3부 형식.


  • 고전적인 세레나데 형식의 미뉴에트 부분 대신에 왈츠를 사용함. 빈의 왈츠적인 요소와 프랑스의 발레음악적인 요소들이 혼합된 형식임.
  • 주부는 제1바이올린이 돌체 에 몰토 그라치오소의 주제를 연주함. 이후 제2바이올린과 첼로의 연주가 진행되면, 제1바이올린은 첼로와 제2바이올린의 선율을 장식하는 역할로 사용됨.
  • 중간부에서는 B단조 변화하면서 여러 형태로 전개함. 이후 다시 주부로 되돌아가면서 코다로 이어짐. 코다에서는 중간부의 주제가 다시 연주되며 피치카토로 끝마침.


  • 3악장 Elegia (엘레지): Larghetto elegiaco, D장조, 3/4박자, 3부 형식.


  • 주부에 비해서 중간부가 4배 정도 늘어났으며, 조성도 D장조에서 변화하지 않음.
  • 중간부에서 바이올린이 몰토 칸타빌레의 주제를 먼저 제시함. 이후 비올라와 첼로의 연주가 이어지며, 바이올린이 이 선율 위에서 발전된 형태로 진행하고 첼로의 주제와는 대비적으로 연주됨.
  • 이 2악기의 사이를 제2바이올린, 비올라가 셋잇단음으로 진행하며, 콘트라베이스는 오르겔풍크트로 연주함. 이후 주제는 비올라가 다시 연주하며 바이올린이 고음을 담당함.
  • 이후 코다부분에서는 첫머리의 동기부분이 조금 인용되듯이 연주됨.


  • 4악장 Finale. Tema russo (피날레. 러시아 주제에 의한): Andante - Allegro con spirito, 2/4박자, 서주를 가진 소나타 형식.


  • 서주부는 안단테로 으뜸조 5도 위의 G장조로 진행함. 전체 악기는 약음기를 지니고 대위법적인 음으로 연주됨. 이 주제는 민요에서 발췌됨.
  • 주부의 C장조 제1주제는 서주부의 선율과는 민속춤곡적인 요소들이 포함됨.
  • 제3변주의 후반부에서는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피치카토 음이 사용되며, 이후 첼로가 E flat장조의 제2주제를 연주함.
  • 바이올린이 다시 이어지면서 러시아 민요적인 선율이 사용됨. 발전부는 제1주제와 제2주제가 혼합적으로 구성되었으며, 이후 재현부에서는 제1주제가 짧은 패시지로 등장함. 제2주제는 C장조로 연주됨.
  • 코다는 1악장 서주를 몰토 메노 모소로 연주되었다가 제2주제가 다시 등장하면서 곡이 끝남.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