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콥스키: 이탈리아 기상곡 op. 45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 작곡 연도: 1880년 1월 16일 ~ 5월 27일
  • 작곡 장소: 로마에서 구상을 끝냄. 3월 ~ 5월 27일 페테르부르크의 카멘카에서 완성함.
  • 헌정, 계기: 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서 교수와 원장을 역임한 첼리스트 다비도프 (Karl Yul'yevich Davidov)에게 헌정됨.

1879년 12월 초순에, 동생 모데스트와 함께 이탈리아 로마로 향함. 결혼 생활의 파탄 이후 찾아온 고통을 이탈리아의 밝은 기운으로 회복하는 과정에서 작곡함. 1880년 1월 21일 아버지의 부고에도 로마에서 계속 지냈으며 장례식에도 참석하지 않음.

로마에서 이탈리아의 민요적인 선율을 바탕으로 작곡된 곡으로써, 작곡가 스스로가 흡족해하는 마음에서 작곡됨.

  • 출판: 총보는 1880년 모스크바 유르겐손 출판사에서 간행됨.

자필 원전악보: 모스크바 국립음악 문화 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자필 스케치: 크린 시의 작곡가 박물관에 보관중임.

  • 초연 연도: 1880년 12월 18일
  • 초연 장소: 모스크바 러시아 음악협회 연주회
  • 초연자: 니콜라이 루빈슈타인(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 3 (제3번은 피콜로와 겸함),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1, 클라리넷 2, 바순 2, 호른 4, 코넷 2,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1, 팀파니 1, 큰북 1, 심벌즈 1, 트라이앵글 1, 탬버린 1, 글로켄슈필 1, 하프 1, 현 5부

악장 구성

  • 5개의 중요한 부분으로 곡이 구성됨.
  • 제1부 Andante un poco rubato. A장조 6/8박자.

- 포르티시모의 트럼펫 팡파르로 시작하며 이는 작곡가가 이탈리아 체재중, 주변에 있던 기병대 막사에서 들려오는 선율을 기초로 작곡됨. 이후 바순, 호른, 트럼펫, 트롬본, 튜바가 셋잇단음의 리듬으로 진행하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가 주제를 제시함.

- 오보에, 플루트, 클라리넷이 카논형식으로 선율을 진행하면 목관악기와 현의 트레몰로가 E장조의 화음으로 이어짐. 그 사이를 트럼펫과 코넷이 처음의 팡파르를 다시 연주함.

- 현의 반주를 이어서 잉글리시 호른, 바순이 주제를 연주하면 오보에가 이탈리아의 민요적인 선율을 진행함.

- 이탈리아적인 밝은 선율은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현 등으로 계속적으로 발전되며 코넷, 트럼펫, 트라이앵글, 하프,


  • 제2부 Allegro moderato. D flat장조 4/4박자.

- 제2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의 반주 위에 플루트, 제1바이올린이 도입 선율을 연주함. 이후 코넷과 호른이 뒤따른 뒤에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가 제2부의 주제를 제시함.

- 탬버린, 하프, 클라리넷의 반주 위에 플루트, 잉글리시 호른이 분위기를 상승시키며 호른과 현의 짧은 악구를 거쳐 제1부의 주제가 다시 재현됨.


  • 제3부 Presto. A단조 6/8박자.

- 현의 반주 위에 플루트,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이 타란텔라 선율을 연주함. 이후 C장조로 바뀐 뒤에 제1부의 오보에 선율에 바탕을 둔 짧은 악구가 등장함.

- 다시 제1부의 주제가 나타남. 팀파니, 탬버린, 심벌즈, 큰북, 트롬본, 튜바가 사용되며 곧 제4부로 넘어감.


  • 제4부 Allegro moderato. B flat장조 3/4박자.

- 투티로 제1부의 주제가 연주된 후에 제5부의 코다로 진행함.


  • 제5부 Presto - Piu presto - Prestissmo. A장조 6/8박자.

- 팀파니와 콘트라베이스의 저음 위에 클라리넷이 제3부의 타란텔라 선율을 연주함.

- 이후 플루, 바이올린의 연주가 이어지면서 클라이맥스로 넘어감. 4마디의 짧은 악구를 거쳐 E flat장조로 조를 옮김.

- 다시 A장조 2/4박자로 돌아간 뒤에 프레스티시모의 강렬한 화음으로 곡을 끝냄.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