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필드: 야상곡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John Field (1782 - 1837)

아일랜드 출신의 작곡가 존 필드의 작품 중 가장 유명한 곡. 오랜 기간에 걸쳐 조금씩 작곡한 그의 야상곡은 모두 18곡이 전한다. 그 중 5번은 후대의 R. 슈트라우스의 자장가 (Wiegenlied op. 41-1)의 선율과 매우 유사하다.

역사

None have quite attained to these vague eolian harmonies, these half-formed sighs floating through the air, softly lamenting and dissolved in delicious melancholy. Nobody has even attempted this peculiar style, and especially none of those who heard Field play himself, or rather who heard him dream his music in moments when he entirely abandoned himself to his inspiration.
리스트가 직접 편집하여 1859년 출판된 존 필드의 야상곡 악보 중 리스트가 직접 쓴 서문 (영어 번역 by Julius Schuberth, 1859)[1]

아일랜드의 더블린에서 태어난 존 필드는 어린 시절 런던으로 이주한 후 작곡가 무치오 클레멘티의 제자가 되어 젊은 시절 클레멘티 아래서 작곡을 배운다. 1802년 6월 스승인 클레멘티와 유럽 순회 공연을 시작하여, 마침내 러시아의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도착했는데 1803년 6월 클레멘티가 떠날 때 필드는 따라가지 않고 그대로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정착하게 된다. 그는 남은 생애 대부분을 러시아에서 보내게 된다. 러시아인 제자와 결혼하여 상트 페테르부르크와 모스크바를 오가는 생활을 하다 결국 1821년에 모스크바로 이사하게 된다.

말년에는 알코올 중독과 그로 인한 암으로 고생하여 치료를 위해 서유럽을 방문하는데 런던 (1831), 파리 (1832-33), 벨기에, 스위스, 이탈리아 등지에서 공연을 가지면서 당시 유명 작곡가와 직접 만나게된다. 마침내 건강히 크게 악화되어 1835년 가을 러시아 귀족의 도움으로 다시 모스크바로 돌아오게 되고 그의 마지막 야상곡들은 이 때 작곡됐다.

존 필드가 그의 마지막 야상곡을 작곡하던 시점에 쇼팽은 이미 초기 야상곡들을 작곡하고 있었다. 1832-33년, 필드가 파리에서 콘서트를 열었을 때, 사람들은 당시 두 사람의 유사한 연주 스타일에 혹시 쇼팽이 존 필드의 제자가 아닌가 하고 물었다고 한다. 그의 연주에 쇼팽은 크게 감명받은 것 같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제자에게 존 필드의 작품들의 악보를 주었다고 한다.[2]

쇼팽처럼 필드의 주요 작품들은 피아노 곡들이다 - 7개의 협주곡, 피아노 소나타, 왈츠 등등인데 그 중 짧고, 시적이며, 서정적인 소품들을 모아 '야상곡'이라는 이름으로 출판했다.

출판

첫번째 3곡은 1812년에 1817년에 4-6번이 추가되고, 7번과 10번이 1821-22년 사이에, 8-9번이 1815-16년에 출판됐다. 8-9번은 처음에 "Romances"라는 이름으로 출판됐다가 1835년에 Nocturnes로 변경된다, 그리고 나머지 곡들은 모두 1830년대에 출판된다.

1859년 출판된 악보에는 리스트가 직접 서문을 썼다.

또한 에디션 마다 정확한 야상곡의 갯수도 일정치 않은데, 필드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다른 이름으로 출판했기 때문이다. 필드가 야상곡이라고 불렀지만 출판된 악보에 포함되지 않아 알려지지 않은 곡이 2곡 있다.

18번에 대해

흔히 18번으로 분류되는 야상곡 18번은 실은 야상곡이 아니다. 작곡가는 1810년 이 곡을 작곡할 때 현악 4중주와 연주될 목적으로 작곡햇으며 디베르티시망 1번 (Premier Divertissement)이라고 이름 부쳤다. 1832년 출판될 때 편집자가 Nocturne charactéristique이라고 부치고는 밤이 아닌 낮을 의미하는 "Midi" (Noon)라는 부제를 부쳤다.

결국 리스트가 악보의 서문에 18번을 설명하면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백야'와 연결지어 설명하는 노력까지 기울이게 된다.

16번에 대해

16번도 18번처럼 현악 4중주와 함께 연주하기 위해 작곡됐다가 독주곡으로 바뀐 곡인데 18번 보다는 점잖아서 야상곡이라고 불러도 무리는 없다.

악기 편성

피아노 독주

구성

출판본 마다 번호가 다른데 아래는 흔히 음반에 사용되는 Edition Peters의 넘버링은 아래와 같다. 이 번호들은 작곡 순서나 출판 순서와 관계가 없다.

  1. No. 1 in E flat major, Molto moderato
  2. No. 2 in C minor, Moderato e molto espressivo
  3. No. 3 in A flat major, Un poco Allegretto
  4. No. 4 in A major, Poco Adagio
  5. No. 5 in B flat major, Cantabile, assai Lento
  6. No. 6 in F major, Cradle Song, Andante tranquillo
  7. No. 7 in C major, Rêverie - Nocturne, Dreamily
  8. No. 8 in A major, Andante
  9. No. 9 in E flat major, Andante spiananto
  10. No. 10 in E minor, Adagio
  11. No. 11 in E flat major, Moderato
  12. No. 12 in G major, Lento
  13. No. 13 in D minor, Song without Words, Lento
  14. No. 14 in C major, Molto moderato
  15. No. 15 in C major, Molto moderato
  16. No. 16 in F major, Molto moderato
  17. No. 17 in E major, Nocturne Pastorale, Andante con moto
  18. No. 18 in E major, Nocturne charactéristique 'Midi', Allegro

형식

대부분 A-B-A의 삼부 형식으로 되어 있다.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악보 다운로드

imslp.org, 무료 악보

주석

  1. Preface to: John Field – 18 Nocturnes, edited by Franz Liszt. Leipzig: J. Schuberth & Co., n.d. Edition Schuberth No.140; various plate numbers. 1859. Available online.
  2. John O'Conor의 TELARC CD-80199 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