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다노: "안드레아 세니에"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움베르토 조르다노의 대표작.

프랑스 성에 보다 가깝게 '안드레아 셰니에'라고도 표기되지만 이탈리아어에 'sh' 발음이 없기 때문에 '안드레아 세니에'가 옳은 표기이다.

프랑스 혁명 당시의 실존 인물인 앙드레 셰니에 (André Chénier, 1762-1794)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이탈리아 사실주의 (베리스모) 4막 오페라.

역사

  • 원작: J. 바르비에의 "André Chénier" 및 폴 디모프의 "앙드레 세니에의 생애와 작품"
  • 대본: 루이지 일리카 (Luigi Illica)의 이탈리아어 대본
  • 초연 연도: 1896년 3월 28일
  • 초연자: Rodolfo Ferrari 지휘
  • 그외 국가에서의 초연:
  1. 미국: 1896년 11월 13일, New York, Academy of Music
  2. 독일: 1897년 2월 3일, 함부르크, 구스타프 말러의 지휘
  3. 영국: 1903년 4월 16일, 런던, Camden Theatre (영어로 불려짐)

오페라의 역사적 배경

프랑스 외교관이자 시인 앙드레 셰니에 (André Chénier, 1762-1794)

실존 인물인 앙드레 셰니에 (1762-1794)는 프랑스의 외교관이었다. 프랑스 혁명 때에는 런던 주재 프랑스 대사관에 무관으로 근무하고 있었으며, 혁명의 와중이던 1791년에 귀국했다.

혁명기간 동안 신문에 많은 글을 기고하여 혁명의 정신과 방향에 영향을 끼쳤는데, 혁명 완료 후에 공화제를 반대하고 입헌군주제를 주장하여 당시의 집권 세력의 반대편에 섰다. 결국 자코뱅당에 의해 체포되어 막시밀리앙 드 로베스피에르에 의해 단두대에서 처형된다.

한편 공포 정치를 행하여 셰니에를 처형한 로베스피에르도 셰니에가 죽은 뒤 불과 45시간 뒤에 반란으로 처형된다.

셰니에는 생전에 단 두 편의 시를 발표했는데 두 편의 시가 모두 오페라에 쓰인다.

등장인물

배역 성부 초연한 성악가
안드레아 세니에 (Andrea Chénier), 시인 테너 Giuseppe Borgatti
카를로 제라르 (Carlo Gérard), 쿠와니 가의 하인, 뒤에 혁명정보의 간부가 됨. 바리톤 Mario Sammarco
마달레나 드 쿠와니 (Maddalena de Coigny), 쿠와니 백작의 딸 소프라노 Evelina Carrera
베르시 (Bersi), 마달레나의 하녀 메조소프라노 Maddalena Ticci
쿠와니 백작부인 (La comtesse di Coigny), 마달레나의 어머니 메조소프라노 Della Rogers
피에트로 플레빌 (Pietro Fléville), 소설가 베이스 Gaetano Roveri
마티유 (Mathieu), 제라르의 부하, 상퀼로트 바리톤 Michele Wigley
수도원장 (The Abbé), 시인 테너 Enrico Giordano
밀정 (The Incredible), 제라르의 부하, 스파이 테너 Enrico Giordano
루세 (Roucher), 세니에의 친구 베이스 혹은 바리톤 Gaetano Roveri
슈미트 (Schmidt), 생 라자르 감옥의 간수 바리톤 Raffaele Terzi
마델론 (Madelon), 눈 먼 노파 메조소프라노 Della Rogers
푸키에 탄빌 (Fouquier Tinville), 시민 변호사 베이스 혹은 바리톤 Ettore Brancaleone
집사장 베이스 Raffaele Terzi
귀부인들, 신사들, 음악가들, 하인들, 병사들 - 합창단

줄거리

1789-93년, 파리(2-4막)와 그 근교(1막).

1막

(쿠와니 백작의 저택)

프랑스 혁명이 있기 전날밤. 파티준비에 분주한 집사장. 그의 아들 제라드는 귀족들을 시중드는 것에 힘들어하지만 백작의 딸 막달레나를 흠모하고 있다. 손님들이 도착하고 그중 수도원장은 파리의 정치상황을 전한다. 손님 중에는 유명한 시인 세니에도 있다. 음악과 발레가 있지만 세니에는 시를 부르지 않는다. 백작부인과 막달레나가 연이어 그에게 즉흥시를 요청하자, 세니에는 이제 화가 나서 즉흥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의 고통에 대해, 교회와 권력자들을 비판하는 시를 노래한다 ("어느날 푸른하늘 아래서"). 이에 귀족들은 놀란다. 그는 계속해서 막달레나에게 "당신은 사랑을 모르고 있군요. 사랑이란 신이 주시는 선물입니다"라고 노래한다. 이를 들은 제라르는 감동하는 막달레나는 용서를 구한다.

손님들은 가보트 춤을 추지만 밖에서 굶주린 민중들의 함성이 들려오고, 제라드는 "불쌍한 여왕폐하"가 손님으로 오셨다고 찬동한다. 결국 제라드는 혁명에 동참하기 위해 입던 하인 외투를 벗어던지고 아버지와 함께 성을 떠난다. 백작부인은 배은망덕한 자들을 원망하고, 아무일도 없었던 것처럼 파티는 계속된다.

2막

(프랑스 혁명 직후 1794년, 파리의 카페)

혁명 직후 로베스피에르 정부하에 세니에는 반대로 반혁명적인 음모를 의심받는다. 귀족 출신의 막달레나처럼 그 역시 숨어야 한다. 백작부인의 예전 시녀인 베르시를 통해 그녀와 연락이 닿는다. 그 사이에 의회 파견인이 된 제라드 또한 사랑하던 막달레나를 찾기 위해 밀정을 시켜 세니에를 감시하게 시켜둔 상태다.

백작부인의 예전 시녀 베르시는 창녀가 됐고 밀정은 그녀를 감시한다. 친구 루세는 세니에에게 가짜 여권을 주며 도망가라고 권하지만 세니에는 거절한다. 자신을 붙잡고 있는 것은 "사랑"이라는 이름의 운명이라며, "희망"이라는 이름의 여성에게서 온 이상한 편지 이야기를 한다. 루세는 편지를 보더니 상대가 창녀일 거라고 평가절하한다. 군중들의 합창을 뒤로하고 제라르가 나타나 밀정에게 자신이 찾고 있는 여인의 외모에 대해 설명하고 사라진다.

마침내 약속장소에 나타난 여인은 막달레나였으며, 결국 세니에와 막달레나는 서로 영원한 사람을 맹세한다. 세니에와 막달레나가 함께 도주를 하려는 바로 그때 밀정의 연락을 받은 제라드가 두 사람과 마주치고 세니에와 결투를 하다 제라드는 부상을 입는다. 그러나 막달레나를 향한 사랑과 예전에 세니에에 대한 호의에서 제라드는 세니에가 도주하도록 도와준다.

3막

(혁명 재판소)

밀정은 세니에가 파리 근교에서 체포됐으며, 막달레나가 그를 구하기 위해 나타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알려준다. 또한 제라르를 기소하는 공소장에 서명할 것을 요청한다. 그 내용을 읽던 제라르는 사실과 다른 왜곡에 분노하지만 ("조국의 적이라고?") 결국은 계획대로 서명한다. 이어서 예상대로 막달레나가 찾아와 제라드에게 세니에를 살려달라고 간청한다. 제라드는 막달레나를 차지하기 위해 세니에를 체포했다고 인정한다. 오랫동안 막달레나는 흠모했노라고 고백하면서 세니에를 목숨과 막달레나의 몸을 맞바꿀 것을 요구한다. 막달레나는 이를 거절한다. 제라드는 세니에를 향한 막달레나의 진정한 사랑을 알게되자 마음을 고쳐먹는다. 막달레나는 혁명군에 의해 어머니의 죽음과 하녀 베르시가 자신을 위해 매춘부로 살아가고 있지만 세니에만이 삶의 희망이라고 노래한다 ("돌아가신 어머니"). 혁명이 이상과 다르게 되어가고 있음을 인지한 제라드는 세니에를 구하기 위하여 로베스피에르에게 이의신청하기로 결정한다. 여러 죄수들을 재판하는 공판장에서 세니에는 자신이 반역자가 아님을 항변하고, 제라드가 그를 변호하지만 판사들은 세니에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4막

(감옥)

면회 온 친구 루세가 종이와 펜을 주자 세니에는 마지막으로 심정을 노래한 시를 쓴다 ("5월의 아름다운 어느 날처럼"). 연인과 함께 죽기를 원하는 막달레나는 사형을 판결받은 어린 여죄수 한 명과 자신을 교환하기 위해 간수에게 나타난다. 제라드는 끝까지 두 남녀의 목숨을 살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한다. 결국 새벽이 되자 세니어와 막달레나는 함께 단두대로 향한다.

유명 아리아

  • "Un dì all'azzuro spazio", (즉흥시 (L'improvviso), 어느날 푸른하늘 아래서 - 세니에 1막)
  • "Come un bel dì di Maggio" (5월의 아름다운 어느 날처럼 - 세니에 4막)
  • "La mamma morta" (돌아가신 어머니 - 마달레나 3막)
  • "Nemico della patria" (조국의 적이라고? - 제라드 3막)
  • "Vivere in fretta" (To live in a hurry - 베르시)

한글 대본

대본 자료실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이 곡이 사용된 영화

영화속클래식

외부 링크

  1. 간략한 줄거리
  2.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