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랴빈: 교향곡 3번 op. 43 "신성한 시"
- 장르: 교향곡
- 작곡가: 스크랴빈 (SCRIABIN)
- 작품명: 교향곡 3번 op. 43 "신성한 시" (Symphony No. 3 in C minor op. 43 "Le divin Poeme")
목차
역사
- 작곡 연도: 1902년-1904년
- 작곡 장소: 러시아와 스위스 (1904년 겨울 이후)
- 헌정, 계기: 그의 나이 30세가 되는 1902년, 스크랴빈은 모스크바 음악원 피아노 교수직을 사임하고는
해외여행을 다니기 시작한다. 그를 후원해 주던 부유한 출판업자 벨리아예프가 1903년 12월 사망하면서 후원자를 잃게 된다.
작곡가는 당시 아내인 베라(Vera)와 멀어지고 한때 자신의 학생이었던 타티아나 슐레처(Tatiana Fyodorovna Schloezer)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아내와 별거하게 된 것은 1904년 겨울 스위스로 이사한 이후로 알려져 있으며 스위스에서 마무리된 이 작품의 초연시에도 작곡가는 아내가 아니라 타티아나 슐레처와 동반한다.
이 작품에 시적인 제목이 붙여진 것도 슐레처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 작품 이후로 계속해서 시적이고, 신비주의적이며 또한 개인주의적인 제목을 가진 작품들을 작곡한다.
- 초연 연도: 프랑스, 파리
- 초연 장소: 1905년
- 초연자:
- 출판: 1904년
악기 편성
- 피콜로, 플루트 3, 오보에 3, 잉글리시호른, 클라리넷 3, 베이스클라리넷, 바순 3, 콘트라 바순
- 호른 8 (in F), 트럼펫 5 (in B♭), 트롬본 3, 튜바 1
- 하프 2, 현5부
- 팀파니, 탐탐, 벨
악장 구성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곡은 쉬지 않고 이어서 연주된다.
I. Lento -
1악장의 느린 1분 정도의 짧은 서주, Lento.
Luttes (Allegro)
Luttes는 '투쟁(Struggles)'을 의미하긴 하지만, 실제 음악은 투쟁보다는 따듯함, 열정을 담고 있는 듯한 느낌을 준다[1]. 중간의 전개부는 격정적인 부분이 되지만 후반부에 Lento로 돌아오는 부분에선 대편성임에도 평화로운 분위기여서 바그너나 브루크너적인 느낌을 준다.
II. Voluptés (Lento)
Voluptés는 '기쁨(Pleasures)'이란 뜻의 느린 악장. 1930년 여름, 작곡가가 러시아의 오볼렌스코예(Obolenkoye) 숲에서 노래하던 새를 목격하며 작곡된 것이라 한다. 중간부분에 목관과 바이올린 독주가 등장하면서 숲의 새를 연상시키는 부분이 있다. 현악기에 의해 활기없이 진행되다가도 금관악기가 간간히 울리면서 마지막 악장을 준비한다.
III. Jeu divin (Allegro)
Je divin은 '신성한 놀이(Divine Play)'라는 뜻의 빠른 악장. 현이 제시한 주제를 트럼펫이 흡사 무슨 신호를 알리듯이 반복하며 진행된다. 제 2주제는 오보에와 첼로에 의해 제시되는데 갑자기 뒤에 1주제가 재등장한다.
전개부에서는 대편성 호른의 합주와 트럼펫의 연주가 돋보인다.
후반부에 1악장의 주제가 다시 등장하며 전체적으로 순환적인 구성을 가진다.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악보 다운로드
외부 링크
주석
- ↑ DG 시노폴리 지휘 427324-2 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