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베르트: 교향곡 3번 D장조 D. 200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 작곡 연도: 1815년 5월 24일~7월 19일
  • 작곡 장소: 빈
  • 출판/판본: 1884년 구 슈베르트 전집,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 출판사
  • 헌정, 계기: 교향곡 2번보다 하이든, 모차르트 영향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경향을 나타냄. 1814년부터 1816년까지 초등학교 보조교사로 일하면서 작곡한 곡. 느린 악장이 없는 실내악적인 규모의 곡임.
  • 초연 연도: 1881년 2월 19일
  • 초연 장소: 크리스탈 펠리스, 런던
  • 초연자: 오거스트 만스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2, 트럼펫 2, 팀파니, 현5부

악장 구성

  • 1악장 Adagio maestoso — Allegro con brio, 서주는 아다지오 마에스토소(D장조, 4/4박자)이며 하이든의 영향을 받음. 상행 음계풍의 진행은 주요부에서도 사용됨. 알레그로 콘 브리오(D장조, 4/4박자)는 소나타 형식으로 목관에 의해 제1 주제가 시작됨. 제2 주제(A장조)는 오보에로 시작함. 발전부는 길지 않으며 2 주제에 공통적으로 쓰인 점리듬 동기를 사용함. 일반적인 재현부를 지나 서주 부분이 다시 나타나는 코다로 이어짐.
  • 2악장 Allegretto, G장조, 2/4박자, 3부 형식. 트럼펫과 팀파니는 사용되지 않음. 1부 주제는 리스트가 "성 엘리자베트"의 중심 주제로 사용한 14세기 독일 민요 "마리아의 자장가"와 유사함. 2부 주제는 작곡가의 습작시절 가곡 "이 세상에 사랑하는 것은 없다"와 유사함.
  • 3악장 Menuetto. Vivace, D장조, 3/4박자. 3부 형식. 1부 주제는 아우프탁트를 강조함. 2부 D장조, 트리오는 실내악적인 세레나데풍으로 현의 반주로 오보에와 파곳이 선율을 이어가며 렌틀러 춤곡과 비슷함.
  • 4악장 Presto vivace, D장조, 6/8박자, 소나타 형식. 로시니의 영향을 받은 악장. 또한 타란텔라 리듬은 안토니오 살리에리로부터도 영향을 받음. 제1 주제를 소재로 제2 주제를 구성함. 발전부는 제2 주제를 사용함.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