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만: 서곡, 스케르초와 피날레 op. 52
역사
- 작곡 연도: 제1고: 1841년, 제2고: 1845년
- 작곡 장소: 라이프치히
- 출판/판본: 제2고: 1846년 라이프치히의 키스트너 출판사
- 헌정, 계기: 펠푸르스트(Johannes Josephus Herman Verhulst)에게 헌정됨. 교향곡 1번의 호평으로, 이어서 교향곡 4번과 이 곡을 작곡함. 제1고의 초연이 좋지 않아서 1845년 여름, 피날레 부분을 중심으로 개정함.
- 초연 연도: 제1고: 1841년 12월 6일, 제2고: 1845년 12월 4일
- 초연 장소: 제1고: 라이프치히, 제2고: 드레스덴
- 초연자: 제1고: 페르디난트 다비트 지휘, 제2고: 페르디난트 힐러 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2, 트럼펫 2, 트롬본 3, 팀파니, 현5부
악장 구성
- Overture. Andante con moto, E단조 4/4박자로 서주부분이 시작됨. 처음에는 바이올린이 동기를 제시하고 이어서 다른 현악기가 동기를 연주함. 주요부는 Allegro, E단조 2/2박자로 진행함. 주요부는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주제는 바이올린이 제시함. 경과부를 지나 서주에서 파생된 제2주제를 바이올린이 제시함. 코데타 부분도 제1주제를 사용함. 발전부도 제1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재현부로 이어짐.
- Scherzo. Vivo, E장조 6/8박자, 3부 형식으로 구성됨. 먼저 바이올린으로 주제를 제시함. 중간부의 트리오는 D flat장조 2/4박자로 진행함. 제3부는 다시 제1부가 D flat장조 2/4박자로 등장함. 코다에서는 목관악기로 서곡부분의 제1주제가 나타나기도 함.
- Finale. Allegro molto vivace, E장조 2/2박자,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주제는 4마디로 구성된, 점리듬과 겹점리듬으로 제시됨. 먼저 제1바이올린이 연주하고 나서 다른 악기들이 연주함. 제1주제와 관련된 제2주제가 바이올린으로 제시됨. 코데타는 목관악기를 중심으로 제시되며 제시부 끝에는 반복 연주됨. 발전부는 제1주제 동기를 중심으로 전개함. 재현부 이후 코데타에서도 제1주제를 중심으로 진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