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팽: 연습곡 op. 10
역사
- 작곡 연도: 1829~1832년
- 작곡 장소: Wien
- 출판/판본: 1833년
- 헌정, 계기: 프란츠 리스트에게 헌정. 리스트는 파리에 진출한 지 얼마 안 된 쇼팽이 곤궁에 처해 있을 때 우정의 손길을 뻗쳐 주었다. 이 작품은 그런 우정에 대한 보답이며, 비록 성향은 다르지만 이 초인적인 명연주가에 대한 존경 때문일 것이다.
- 초연 연도: 미상
- 초연 장소: 미상
- 초연자: 작곡가 자신으로 추정.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피아노 독주
악장 구성
- 1번 C장조 Op.10-1 4옥타브 이상의 아르페지오의 연습곡으로 전체가 구성되어 있음. 알레그로, 4/4박자, 3부 형식. A-B-A. 중간부 다음에 첫머리의 16마디가 으뜸조로, 아주 조금 형태를 바꾸어 되돌아옴.
- 2번 a단조 Op.10-2 반음계의 연습곡. 오른손의 3,4,5번 손가락으로 반음계를 레가토로 연주하고, 엄지와 2번 손가락이 그 아래 화음을 마디의 각 박자마다 연주하는 곡. 알레그로, 4/4박자 .3부 형식. A-B-A. 제1부, 중간부는 조바꿈을 되풀이. 제3부는 제1부의 축소된 재현.
- 3번 E장조 Op.10-3 <이별의 노래> 렌토 마 논 트로포, 2/4박자. 3부 형식. A-B-A. 제1부는 21째마디까지이다. 제1부분은 21~29째마디로 B장조로 시작되고, 제2부분은 30~38째마디로 A장조로 들어감. 제3부분은 38~46째마디, B장조부터 다양한 경과적 조바꿈. 제4부분은 46~53째마디, 다양한 경과적 조바꿈, 제5부분은 54~61째마디, 제1부분의 주선율의 복귀로 이어짐. 이어서 조성은 E장조로 돌아가 제1부의 재현.
- 4번 C sharp장조 Op.10-4 프레스토, 4/4박자. 3부 형식. A-B-A-코다. 제1부(1~16째마디), c sharp단조. 중간부(17~50째마디), g sharp단조로 시작, 다양한 조바꿈을 하고 c sharp단조로 복귀. 제3부(51~71째마디)는 제1부의 재현. 코다(71~82째마디), c sharp단조.
- 5번 G flat장조 Op.10-5 <검은건반> 비바체, 2/4박자. 제1부(1~16째마디), G flat장조에서 D flat장조로. 중간부(17~48째마디), D flat장조부터 경과적 조바꿈을 하면서 진행. 제3부(49~66째마디)는 G flat장조로 돌아가 제1부를 재현. 코다, G flat장조.
- 6번 e flat단조 Op.10-6 안단테, 6/8박자. 3부 형식. A-B-A. 제1부(1~16째마디) e flat단조. 중간부(17~40째마디)에서는 잠깐 E장조로 바뀜. 제3부(41~53째마디)는 제1부의 짧은 재현, e flat단조. 47, 48째마디에 나타나는 나폴리 6도, 49째마디의 엔하모닉 전환에 의한 갑작스러운 A장조로의 일시적 조바꿈.
- 7번 C장조 Op.10-7 비바체, 6/8박자. 3부 형식. A-B-A-코다. 제1부(1~16째마디), C장조. 코다는 8마디.
- 8번 F장조 Op.10-8 알레그로, 4/4박자. 3부형식. A-B-A-코다. 제1부(1~28째마디), F장조. 제2부(29~60째마디)는 전개적 부분으로 d단조를 주로하여 조바꿈을 거듭. 제3부(61~74째마디)는 제1부의 재현, F장조. 코다(75~95째마디),F장조.
- 9번 f단조. Op.10-9 알레그로 몰토 아다지오, 6/8박자. A-B-A-B'-코다. 제1부 A, f단조. 제2부 B, 조바꿈을 거듭하다가 f단조로 돌아가 포르테와 피아니시모로 교대로 연주. 제3부 A, f단조.
- 10번 A flat장조 Op.10-10 비바체 아사이,12/8박자. 3부 형식. A-B-A-코다. 제1부(1~16째마디), A flat장조. 제2부(17~54째마디), E장조로 시작하여 다양한 조바꿈을 거쳐 A flat장조로 돌아옴. 제3부, 제1부의 재현, A flat장조. 코다(69~77째마디), A flat장조.
- 11번 E flat장조 Op.10-11 알레그레토, 3/4박자. 3부 형식. A-B-A-코다. 제1부(1~16째마디), E flat장조, f단조, E flat장조로 바뀌어 C flat장조로. 제2부, C flat장조, d flat단조, e flat단조로 조바꿈하여 마지막에는 B flat음의 지속음 위에 조바꿈.
- 12번 A flat장조 Op.10-12 <혁명> 알레그로 콘 푸오코, 2/2박자(자필 악보에 의함. 초판은 4/4박자로 되어 있어 그것을 채용한 악보도 많음). 3부 형식. A-B-A. 제1부, c단조로 시작하여 B flat장조로 끝남. 제2부, 조바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