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스타코비치: 교향곡 01번 F단조 op. 10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 작곡 연도: 1924년~1925년
  • 작곡 장소: 레닌그라드
  • 출판/판본: 1927년(쇼스타코비치 모든 교향곡은 국립음악출판소 약칭 MUZGIZ 에서 출판됨)
  • 헌정, 계기: 레닌그라드 음악원 졸업 작품이며 피아노의 역할이 큼. 19세의 나이로 작곡해 현대판 모차르트로 주목받기 시작함.
  • 초연 연도: 1926년 5월 12일
  • 초연 장소: 레닌그라드,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대강당
  • 초연자: Nikolai Malko 지휘,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피콜로(제3 플루트와 겸함), 플루트 2(제2는 피콜로와 겸함),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4, 트럼펫 2, 알토 트럼펫,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큰북, 작은북, 심벌즈, 트라이앵글, 탐탐, 그로켄슈필, 피아노, 현5부

악장 구성

  • 1악장 Allegretto - Allegro non troppo, 도입부는 A-A'-B-A" 의 3부 형식임. 도입부는 약음기를 끼운 트럼펫이 먼저 시작하면 파곳이 둘째마디부터 같이 연주함. 클라리넷과 피치카토의 첼로는 변형되어 반복되고, 그 동기는 현으로 이어짐. 제시부 제1 주제는 클라리넷 독주로 시작함. 플루트와 파곳으로 반복된 다음 트럼펫으로 진행함. 발전부는 현악기를 독주 파트 별로 세분화하여 변화시킴. 재현부는 발전부와 이어지는 제1 주제를 바탕으로 플루트 연주로 제2 주제를 연주함. 코다는 발전부의 투티 부분이 인용되며 코다 끝부분은 도입부가 다시 나타나면서 마침.
  • 2악장 Allegro, '스케르초-메노 모소 트리오-스케르초의 재현-코다' 의 형식을 갖춤. 주제부는 저음현과 클라리넷 독주로 시작함. 트리오는 플루트, 클라리넷으로 시작되며 현, 오보에, 파곳 순으로 연주됨. 스케르초로 되돌아 온 후 피아노의 역할이 두드러짐.
  • 3악장 Lento, 3부 형식. 1악장의 동기와 유사한 현의 선율 위로 오보에가 연주됨. 첼로 독주로 바그너 "트리스탄과 이졸데"를 연상시키는 선율이 이어짐. 2부 라르고는 오보에로 시작되며 그후 주제부는 바이올린으로 다시 재현됨.
  • 4악장 Allegro molto, 렌토의 도입부는 저음의 셋잇단음표 연주와 목관악기로 시작함. 주제부 '알레그로 몰토'는 2개의 주제로 이어짐. 두 개의 주제가 변화하면서 마지막에는 금관악기의 투티로 곡을 끝맺음.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