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 전송률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비트 전송률 = 비트수x샘플링주파수x채널수

CD를 립핑한 wav파일을 윈도에서 선택해보면 Vista 이상에선 탐색기 하단의 정보창에 "비트 전송률: 1411kbps"라고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mp3에서 128kbps니 320kbps라는 bps (bits per second 초당 비트수) 표기가 흔해지면서 wav파일도 mp3의 비트레이트 (비트 전송율)와 같은 방식으로 표기하여 mp3의 그것과 쉽게 비교하기 위해 도입된 것일 것입니다.

CD의 비트 전송률

그런데 1411kbps가 어떻게 나온 값일까요? 음악 CD의 규격은 채널당 16비트이며 44.1khz의 샘플링 주파수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비트레이트로 변환하려면 간단한 곱하기를 하면 됩니다. 16 x 44.1 x 2 = 1411.2 즉 1411kbps가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마지막의 x2는 L와 R, 그렇게 2채널이기 때문에 2배가 된 것이다.

보통 블루레이에 PCM 신호가 수록되어 있더라도 비트수와 샘플링주파수는 내지 등에 표기되지 않고 Blu-ray 플레이어에서 음성신호를 선택해야 kbps 값만 알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PC에서 재생해보면 음성신호의 비트레이트 값을 알 수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위의 산수를 응용하면 요즘의 블루레이 디스크의 음성 신호의 비트레이트로부터 우리에게 보다 익숙한 비트 값과 샘플링주파수 값을 알 수 있습니다.

DVD-V & Blu-ray Disc의 비트 전송률

우선 대부분의 DVD-V의 PCM 신호는 16비트 48khz 2채널 PCM = 16 x 48 x 2 = 1536kbps 입니다.

블루레이에서 가장 흔한 2채널 PCM 신호는 24비트 48khz 2채널 PCM = 24 x 48 x 2 = 2304kbps (2250Kbps) 블루레이에서 가장 흔한 서라운드 PCM 신호는 24비트 48khz 5채널 PCM = 24 x 48 x 5 = 5760kbps (5625Kbps) 혹은 24비트 48khz 5.1채널 PCM = 24 x 48 x 6 = 6912kbps (6750Kbps)가 됩니다.

그런데 1kbps를 1000bps로 볼 것이냐 1024bps로 볼 것이냐 하는 정의의 차이 때문에 표기 상의 차이가 생겨 위에서 괄호안에 든 숫자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보다 더 높은 사양의 HD 음성신호를 수록한 경우는 24비트 96khz 2채널 PCM = 24 x 96 x 2 = 4608kbps 24비트 96khz 5채널 PCM = 24 x 96 x 5 = 11520kbps 등등이 됩니다.

단, 이는 wav 즉 PCM에 한한 것입니다. DTS-HD, flac 등 무손실 압축 포맷을 재생해보면, 압축 포맷은 실시간으로 압축을 풀어 재생하지만, 비트레이트는 압축을 풀기 전의 값을 표기하게 되어 동일한 음질의 PCM에 비해 작은 값이 됩니다.[1]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