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 호른 3중주 E flat장조 op. 40
역사
- 작곡 연도: 1864년 ~ 1865년
- 작곡 장소: 리히텐탈(Lichtenthal), 바덴바덴 근교
- 출판/판본: 1866년 11월 짐로크 출판사
- 헌정, 계기: 밸브식 호른이 아닌 내추럴 호른을 사용하는 작품임. 유년 시절부터 친숙한 악기로 작곡된, 어머니의 죽음을 위로하기 위한 성격의 곡이기도하며 리히덴탈의 전원적인 모습이 반영된 곡이기도 함.
- 초연 연도: 1865년 11월 28일
- 초연 장소: 취리히(Zürich)
- 초연자: 작곡가 (피아노), Hegar (바이올린), Gläss (호른)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바이올린, 호른(혹은 비올라), 피아노
악장 구성
- 1악장 Andante - Poco piu animato, E flat장조 2/4박자, 론도 형식. 1악장이 특이하게 소나타 형식에서 벗어남. 제1 주제는 바이올린이 제시하며 호른이 이어감. 제2 주제는 9/8박자로 바뀌며 G단조로 옮겨서 바이올린이 제시함.
- 2악장 Scherzo. Allegro - Molto meno Allegro, E flat장조 3/4박자, 3부 형식. 제1부는 피아노의 스타카토 악구로 시작함. 이어서 호른이 G flat장조로 새로운 선율을 제시함. 트리오는 A flat단조로 피아노 반주 위에 호른과 바이올린이 연주함.
- 3악장 Adagio mesto, E flat단조 6/8박자, 3부 형식. 제1부는 피아노로 시작해서 바이올린과 호른이 대위법적으로 진행됨. 제2부는 피아노의 화음풍의 대위법적인 반주로 진행됨. 제3부는 제1부의 재현이며 코다는 먼저 제2부의 선율을 다룬 후에 제1부의 선율이 바이올린으로 연주됨.
- 4악장 Finale. Allegro con brio, E flat장조 6/8박자, 소나타 형식. 제1 주제는 피아노의 반주 위에 바이올린이 제시함. 경과구를 거쳐 B flat장조로 끝남. 제2 주제는 B flat단조로 호른의 지속음과 함께 바이올린과 피아노가 제시함. 발전부는 제1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호른으로 제2 주제를 연주함. 재현부는 제1 주제를 기본으로 시작하며 제2 주제는 E flat단조로 연주됨. 코다는 제1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