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 피아노 4중주 2번 A장조 op. 26
역사
- 작곡 연도: 1861년 10월
- 작곡 장소: Hamburg
- 출판/판본: 1863년 3월 본(Bonn)의 짐로크(Simrock) 출판사
- 헌정, 계기: 레징 백작 부인에게 헌정됨. 1855년 뒤셀도르프 시대 초안함. 피아노 4중주 1번과 비슷한 시기에 작곡했지만 양식적으로 서로 대비적임.
- 초연 연도: 1861년 11월 29일
- 초연 장소: Musikvereinsaal, Wien
- 초연자: 작곡자(피아노), 헬메스베르거 현악 4중주단(드비할: 비올라, 레벨: 첼로)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악장 구성
- 1악장 Allegro non troppo, A장조 3/4박자, 소나타 형식. 제1 주제는 피아노로 제시함. 제2 주제는 E장조로 첼로가 제1 주제를 연주하면 피아노가 제2 주제를 제시함. 코데타는 제2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되며 발전부도 제2 주제가 근간이 됨. 발전부도 3개 부분으로 나뉘며 제2 주제 - 제1 주제 - 코데타 (제2 주제) 순으로 이어짐. 재현부는 일번적인 형식으로 진행됨.
- 2악장 Poco adagio, E장조 4/4박자, 론도 형식. 주제는 약음기를 낀 현악기의 반주 위에 피아노가 제시함. 주제의 제시가 끝난 뒤 디미누엔도된 뒤 피아노가 포르테로 부주제를 연주함.
- 3악장 Scherzo. Poco allegro - Trio, A장조 3/4박자, 3부 형식. 제1부 제1 주제는 현악기로만 연주됨. 제2 주제는 E장조로 피아노만 연주함. 발전부는 제1 주제를 다루며 경과구로 넘어감. 제2부 트리오도 제1부와 마찬가지로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됨. 발전부는 제2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됨. 제3부는 제1부의 반복임.
- 4악장 Finale. Allegro, A장조 2/2박자, 론도 형식. 주제는 포르테의 바이올린으로 제시됨. 제1 부주제는 E단조로 제시되며 제2 부주제는 피아노, 비올라, 첼로로 연주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