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 클라리넷 소나타 1번 F단조 op. 120-1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장르: 실내악
  • 작곡가: 브람스 (BRAHMS)
  • 작품명: 클라리넷 소나타 1번 F단조 op. 120-1 (Clarinet Sonata No. 1 in F minor op. 120-1)

역사

  • 작곡 연도: 1894년 여름
  • 작곡 장소: 바트 이슐
  • 출판/판본: 1895년 짐로크 출판사
  • 헌정, 계기: 클라리넷 주자인 뮈르펠트(Richard Mühlfeld)를 위해서 작곡함. 작곡가의 최후 실내악곡인 동시에, 최후의 소나타에 해당함.
  • 초연 연도: 1895년 1월 7일
  • 초연 장소: 빈
  • 초연자: 작곡가: 피아노, 뮈르펠트: 클라리넷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피아노, 클라리넷

악장 구성

  • 1악장 Allegro appassionato, F장조 3/4박자, 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됨. 피아노에 이어서 클라리넷이 제1주제를 제시함. 주제의 8분음표 선율은 여러번 반복되어 등장함. 경과부를 지나 피아노가 제2주제의 제1악구를 제시함. 2대의 악기가 카논 형식으로 제2주제 제2악구를 제시하며 코데타로 이어짐. 발전부는 제1주제를 중심으로 대위법적으로 진행함. 재현부는 2개의 주제를 일반적인 형태로 재현함. 코다부분은 제1주제를 중심으로 진행함.
  • 2악장 Andante un poco adagio, A flat장조 2/4박자, 3부 형식으로 구성됨. 저음의 반주 위에 클라리넷이 제1주제를 제시함. 제2부는 C sharp단조에서 E장조로 바뀜. 제3부는 피아노의 분산화음을 중심으로, 클라리넷의 연주가 이어짐.
  • 3악장 Allegretto grazioso, A장조 3/4박자, 3부 형식으로 구성됨. 스케르초 형식에 해당함. 클라리넷의 선율로 시작함. 제2부는 트리오에 해당함. 싱커페이션 음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성은 F단조로 변화함. 제3부는 제1부의 재현임.
  • 4악장 Vivace, F장조 2/2박자, 론도 형식으로 구성됨. 피아노가 제1주제를 먼저 제시함. 주제에 이어서 경과구를 거쳐 제1부주제가 등장함. 제1부주제는 C장조로 구성됨. 이후 C장조에서 F장조로 옮기면서 다시 재현되는 부분을 거침. 제2부주제는 D단조로 제시함. 제1부주제가 다시 F장조로 등장한 후 코다 부분으로 넘어감.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