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람스: 교향곡 2번 D장조 op. 73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장르: 교향곡
  • 작곡가: 브람스 (BRAHMS)
  • 작품명: 교향곡 2번 D장조 op. 73 (Symphony No. 2 in D major op. 73)

역사

  • 작곡 연도: 1877년 6월 착수 ~ 1877년 11월 22일 완성
  • 작곡 장소: 베르타 호반의 페르차하 ~ 바덴바덴 근교의 리히텐탈
  • 출판/판본: 1878년 8월 짐로크 출판사. 자필 총보는 뉴욕 피어폰트 모건 도서관 소장.
  • 헌정, 계기: 남오스트리아 알프스 산들이 둘러싼 페르차하의 환경이 반영됨. 바이올린 협주곡, 바이올린 소나타 1번도 페르차하에서 작곡함. 교향곡 1번과는 대조적으로 단기간에 작곡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밝은 분위기의 곡임.
  • 초연 연도: 1877년 12월 30일
  • 초연 장소: Musikvereinsaal, Wien
  • 초연자: 한스 리히터 지휘, 빈 필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현5부

악장 구성

  • 1악장 Allegro non troppo, D장조 3/4박자, 소나타 형식. 제1 주제는 저음현의 기본 동기 다음에 목관과 호른이 제시함. 제2 주제는 기본 동기에 목관과 현의 대구적인 진행 이후 비올라와 첼로가 연주함. 발전부는 제1 주제를 F장조의 호른으로 연주하며 오보에, 플루트가 이어짐. 재현부는 오보에, 바이올린, 목관으로 제1 주제를 연주함. 이후 제2 주제가 나온 뒤 제1 주제로 끝맺음.
  • 2악장 Adagio non troppo, B장조 4/4박자, 소나타 형식. 제1 주제는 첼로와 파곳이 대위법적으로 선율을 이룸. 이후 바이올린과 플루트가 반복 연주함. 제2 주제는 12/8박자로 F sharp 장조의 목관으로 연주함. 발전부는 조를 바꾸며 4/4박자의 제1 주제가 바이올린으로 연주됨. 재현부는 제1 주제를 중심으로 전개됨.
  • 3악장 Allegretto grazioso (quasi andantino), G장조 3/4박자, 론도 형식의 스케르초 악장. A-B-A-C-A의 단순한 구성임. 주제는 오보에로 제시함. 이후 이 주제를 중심으로 변주됨.
  • 4악장 Allegro con spirito, D장조 2/2박자, 소나타 형식. 처음 제1 주제는 현악기로만 약음으로 제시됨. 이후 관악기를 증가시켜 선율을 진행함. 제2 주제는 바이올린과 비올라가 연주하며 목관이 이어짐. 제2 주제도 1악장에서 쓰인 기본 동기가 사용됨. 발전부는 제1 주제를 기초로 진행함. 재현부도 제1 주제가 반복되며 제시부대로 진행함. 코다는 금관악기로 시작하며 이 선율이 코다의 중심임.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외부 링크

  1. 해설과 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