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 op. 43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장르: 관현악곡
  • 작곡가: 베토벤 (BEETHOVEN)
  • 작품명: 프로메테우스의 창조물 op. 43 (Die Geschöpfe des Prometheus op. 43)

역사

  • 작곡 연도: 1800년
  • 작곡 장소: 빈
  • 출판/판본: 1801년 빈의 알타리아 사에서 전곡을 피아노 편곡판으로 출판. 1804년 라이프치히의 호프마이스터 & 큐넬 사에서 서곡만 출판.
  • 헌정, 계기: 리히노프스키 후작 부인에게 헌정됨. 작곡가에게 발레 음악으로는 유일함. 이탈리아의 발레 작가이자 무용가인 살바토레 비가노가 1801년 빈 공연을 위해 작곡가에게 의뢰한 곡임.
  • 초연 연도: 1801년 3월 28일
  • 초연 장소: 궁정 극장, 빈
  • 초연자: 미상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트럼펫 2, 팀파니, 현5부, 하프(제5곡에서), 바세트 호른(제14곡에서)

악장 구성

  • 서곡 아다지오, C장조, 3/4박자의 서주와 알레그로 몰토 콘 브리오, 2/2박자의 변칙적인 소나타 형식의 주부로 구성됨. 투티로 시작하는 서주의 딸림 7화음은 1800년 4월 2일에 초연된 교향곡 1번과 유사함. 이후 오보에, 호른 연주에 이어 제1 주제를 바이올린이 제시함. 제2 주제는 목관으로 연주함. 새로운 주제로 제시부를 종결함으로써 발전부를 대신함. 제1 주제를 중심으로 재현부와 코다로 이어짐.
  • 제1막, 서주 알레그로 논 트로포, 4/4박자. 1801년 피아노 편곡판에서는 "폭풍"이라는 표제가 사용됨.
  • 제1곡 포코 아다지오, C장조, 2/4박자와 알레그로 콘 브리오의 자유로운 3부 형식.
  • 제2곡 아다지오, F장조, 4/4박자의 서주와 알레그로 콘 브리오, D단조, 2/2박자의 주부로 구성됨.
  • 제3곡 알레그로 비바체, F장조, 3/4박자, 3부 형식.
  • 제2막, 제4곡 마에스토소, D장조, 4/4박자의 도입부와 안단테, 2/2박자의 자유로운 3부 형식의 주부로 구성됨.
  • 제5곡 아다지오, B flat장조, 4/4박자의 서주와 안단테 콰지 알레그레토, 6/8박자의 3부 형식으로 이루어짐.
  • 제6곡 운 포코 아다지오, G장조, 4/4박자의 도입부와 알레그로, 3/4박자의 춤곡 부분으로 구성됨.
  • 제7곡 그라베, G장조, 4/4박자의 자유로운 3부 형식.
  • 제8곡 알레그로 콘 브리오, D장조, 4/4박자, 론도 형식.
  • 제9곡 아다지오, E flat장조, 3/4박자와 아다지오, E flat장조, 4/4박자 그리고 알레그로 몰토, C단조, 2/2박자의 3부 형식.
  • 제10곡 알레그로, C장조, 6/8박자의 복합 3부 형식.
  • 제11곡 안단테, C장조, 4/4박자와 아다지오, C장조, 3/4박자 그리고 알레그로, C장조, 4/4박자의 3부분과 함께 코다로 구성됨.
  • 제13곡 알레그로, D장조, 2/4박자, 3부 형식.
  • 제14곡 안단테, F장조, 4/4박자와 아다지오, 3/8박자의 플루트와 바세트 호른으로 주제를 연주하는 부분, 알레그레토, 3/4박자 부분 등으로 구성됨.
  • 제15곡 안단티노, B flat장조, 2/2박자로 시작하며 아다지오, 2/2박자의 3부 형식과 알레그로, 3/4박자의 3부 형식이 이어짐.
  • 제16곡 알레그레토 E flat장조, 2/4박자. 이 곡의 주제는 "12개의 콩트르당스"의 7곡, "에로이카 변주곡", 교향곡 3번 4악장에서도 쓰임.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