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크: 관현악을 위한 3개의 소품 op. 6
역사
- 작곡 연도: 1913년 여름에 착수하여 1915년 8월에 전곡 완성. 1929년 개정.
- 작곡 장소: Wien
- 출판/판본: 1923년 유니버셜 출판사. 1929년 개정.
- 헌정, 계기: 스승이자 친구인 아로놀트 쇤베르크에게 헌정됨. 1913년 6월, 베를린에서 쇤베르크를 방문한 자리에서 관현악 형식의 모음곡을 써보라는 권유를 받음. 이곡은 말러와 쇤베르크의 영향을 많이 받음. 특히 말러의 타악기를 사용한 음색 구현법과 쇤베르크의 복잡하고 정밀한 대위법적인 진행법,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변주적인 화음선율법의 영향을 입음. 이후 이곡은 오페라 "보체크"의 관현악법에서 다시 작곡가의 독창적인 색채가 완성됨.
- 초연 연도: 제1, 2곡은 1923년 6월 5일. 전곡은 1930년 4월 14일
- 초연 장소: 제1, 2곡은 베를린. 전곡은 올덴부르크
- 초연자: 제1, 2곡은 작곡자 지휘. 전곡은 요하네스 실러 지휘.
악기 편성
플루트 4 (피콜로와 겸함), 오보에 4 (제4는 잉글리시 호른과 겸함), A 클라리넷 4 (제3은 E flat 클라리넷과 겸함), B flat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3, 콘트라바순, 호른 6, 트럼펫 4, 트롬본 4 (테너 3, 베이스1), 콘트라베이스 튜바, 2대의 팀파니, 큰북, 작은북, 심벌즈, 탐탐 (대, 소), 테너 드럼, 트라이앵글, 큰 해머, 글로켄슈필, 실로폰, 첼레스타, 하프 2, 현5부
악장 구성
- 제1곡 Präludium (전주곡)
- - Langsam (천천히), 56마디, 4/4박자로 진행함.
- - A - 경과부 - B - B' - 경과부 - A'의 구조로 연주됨.
- - 타악기의 트레몰로 반주 위에 호른, 현, 플루트가 가세하는 화음으로 구성됨. 주선율은 바순이 제시함.
- - 경과부에서는 트롬본의 저음 리듬을 바탕으로 반복적인 연주가 첨가됨.
- - B부분은 A부분의 대위법적인 선율로 진행함. B'부분은 오보에에 의해서 연주되고 바이올린이 뒤따름. 이후 트럼펫, 호른, 현이 차례로 이어져서 투티로 들어감.
- - 다시 처음의 타악기 여린 화음으로 되돌아가서 마침.
- 제2곡 Reigen (윤무)
- - 121마디, 2/2박자 - 3/4박자 - 2/2박자로 진행함.
- - A - 경과부 - B - 경과부 - C - B' - 경과부 - A의 대칭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짐.
- - A부분은 하강형의 트레몰로 화음과 6잇단음표로 구성된 선율을 부성부로 진행함. 바순과 바이올린이 주제를 제시함.
- - B부분은 왈츠의 선율이 피치카토 반주 위에 진행함.
- - C부분은 플루트와 바이올린이 먼저 반복적인 선율을 연주하고 트럼펫의 포르티시모 악상과 앞의 왈츠 악상이 진행됨.
- - 코다부분은 목관악기와 현악기의 트릴이 지속되는 가운데 호른과 트럼펫이 나즈막히 연주함.
- 제3곡 Marsch (행진곡)
- - 174마디, 4/4박자로 구성됨.
- - 각부분마다 새로운 선율이 제시되는 구조로 진행함.
- - 행진곡 리듬에 3잇단음표의 동기, 아르페지오 형식의 악상이 제시됨. 이어서 현악기로 선율이 이어진 뒤에 다시 처음의 행진곡 리듬으로 되돌아감.
- - 제2부분은 짧은 동기가 제시된 뒤에 행진곡 리듬이 다시 등장함.
- - 제3부분은 점리듬의 반주 위에 행진곡 형태의 선율이 연주됨.
- - 제4부분은 처음의 3잇단음표의 동기가 발전적인 형태로 진행함. 목관악기의 스타카토와 현의 피치카토에 의한 화음이 진행하며 금관악기가 다시 이어짐. 마지막은 관악기로 곡을 마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