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디: "아이다"
1869년 11월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개통을 기념하여 설립된 카이로의 Khedivial Opera House를 위해 작곡된 오페라.
이집트의 왕 이스마일 파샤로부터 당시로서는 유례없는 거액의 작곡료를 받았다.
작곡가의 자기 부정적 작품, "(나) 베르디 아이다"
역사
- 작곡 연도:
- 작곡 장소:
- 헌정, 계기: 프랑스 이집트 고고학자인 오귀스트 마리에트의 쓴 시나리오를 기초로, 카미유 뒤 로클이 프랑스로 대본을 작성. 이를 근거로 안토니오 기슬란초니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작성.
- 초연 연도: 1871년 12월 24일
- 초연 장소: 카이로(Cairo)의 Khedivial Opera House
- 초연자: Giovanni Bottesini (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 아이다, 에티오피아의 공주 (소프라노)
- 이집트 왕 (베이스)
- 암네리스 공주, 왕의 딸 (메조소프라노, 콘트랄토)
- 라다메스, 호위병 장군, (테너)
- 아모나스로, 에티오피아의 왕 (바리톤)
- 람피스, 제사장 (베이스)
- 사자 (테너)
- 여사제의 목소리 (소프라노)
- 승려들, 무녀들, 수상들, 장군들, 병사들, 관리들, 에티오피아인들, 노예와 죄수들, 이집트인들, 동물들
간략한 줄거리
멤피스 이집트 왕 궁전 안에서는 사제들이 여신인 이시스에게 에티오피아 군대에 대항할 대장을 선택하게 해 달라고 기도를 하고 있다. 라다메스는 자신이 대장으로 선택되기를 갈망한다. 그는 이번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면 공주 암네리스의 노예인 아이다와 결혼할 수 있을거라 생각한다. 대장으로 라다메스가 선택되고 암네리스가 왕의 직권으로 그를 대장으로 임명한다. 암네리스는 라다메스를 사랑하고 있었으며 라다메스의 아이다에 대한 애정어린 눈길을 질투하고 있다. 아이다는 에티오피아 국왕인 부친 아모나스로에 대한 부정과 라다메스에 대한 사랑 사이에서 고뇌한다.
전쟁에서 승리한 라다메스를 맞이하면서 암네리스는 아이다의 마음을 떠본다. 이집트 왕은 라다메스에게 무슨 소원이라도 들어주겠노라고 말하지만 라다메스는 아이다와의 결혼을 말할 수 없어 대신 감옥에 수감된 죄수들을 사면해 달라고 요청한다. 죄수들 속에서 아이다는 아모나스로가 끼어 있음을 알아차리고 뛰쳐나간다. 이집트 왕은 죄수들을 사면하지만 제사장의 주장에 따라 아모나스로와 아이다는 억류하기로 한다. 이집트 왕은 라다메스에게 암네리스와 결혼하여 이집트의 왕위를 계승할 것을 명한다.
이시스 사원에 공주와 제사장은 공주의 결혼에 이시스의 축복이 충만하기를 기도하러 왔다. 아이다도 마지막으로 라다메스를 만나러 왔지만 먼저 그녀의 부친이 나타난다. 아모나스로는 라다메스로부터 기밀을 염탐해 오도록 아이다를 설득한다. 아이다의 질문에 머뭇거리던 라다메스는 마음이 약해져 기밀을 누설한다. 암네리스가 그 광경을 지켜보다가 병사들을 부른다. 아모나스로와 아이다는 급히 피신하지만 라다메스는 도주를 거부하고 체포된다.
암네리스는 라다메스에게 아이다를 잊고 자기와 결혼할 생각이 있다면 죄를 사면할 수 있게 도와주겠다고 제안한다. 라다메스는 단호하게 그 제안을 거절한다. 라다메스는 법정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지하 무덤에 생매장된다. 아이다는 라다메스가 돌무덤 속에 매장될 것을 사전에 알고 먼저 숨어 있었다. 지상에서 암네리스가 라다메스의 명복을 비는 가운데 두 사람은 서로를 끌어안고 조용히 숨을 거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