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르토크: 현악 4중주 1번 op. 7 Sz. 40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장르: 실내악
  • 작곡가: 버르토크 (BARTOK)
  • 작품명: 현악 4중주 1번 op. 7 Sz. 40 (String Quartet No. 1 op. 7 Sz. 40)

역사

  • 작곡 연도: 1908년
  • 작곡 장소: 부다페스트
  • 가사/대본/원작: 내용 없음
  • 출판/판본: 1910년 부다페스트의 로자벨지 출판사, 2차 대전 후 부시 앤드오크스 출판사에서 복각 재판
  • 헌정, 계기: 당시 라벨, 피젯티, 쇤베르그의 현악 4중주 발표에 자극받아 작곡하게 되었다고 추정
  • 초연 연도: 1910년 3월 19일
  • 초연 장소: 부다페스트
  • 초연자: 발트바우엘-케르페이 현악 4중주단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두개의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악장 구성

  • 1악장

Lento, 4/4박자

두개의 바이올린이 대위법적 구성의 연주를 시작. 고조를 이룬 후 중간부에 들어가면 비올라에 의한 새로운 악상 제시.

  • 2악장

Allegretto, 3/4박자

서주 후 점차 속도를 더하여 주부가 시작. 동기의 특징은 단 2도 하행하여 크게 도약한 후 단 2도 상행하는 음형의 형태. 이러한 형태는 곡 전체의 주동기적인 역할. 점차 안정되며 제 2 주제와 연결되고, 그 후 피지카토 리듬로 이어짐.

  • 3악장

Allegro vivace, 4/4박자

첼로의 카덴차풍의 패시지 중심의 도입부를 거쳐, 주부가 시작. 민속 무곡풍의 악상은 전곡의 핵심적인 부분. 제 2 바이올린의 14마디 사이에 3옥타브로 확대되고, 그에 맞게 구성된 화음은 주제를 강조하는 특징적인 부분. 최약주의 새로운 동기가 나타나고, 다시 첫 주제의 변형 전개. 후반으로 갈 수록 점차 빨라지며 고조에 끝에서 종결.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