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르토크: 비올라 협주곡 Sz. 120
역사
- 작곡 연도: 유작, 작곡자가 사망한 후 제자인 티볼 셀리에 의하여 완성
- 작곡 장소: 뉴욕
- 가사/대본/원작: 내용 없음
- 출판/판본: 부시 앤 호크스 1949년 (피아노 스코어), 1950년 (오케스트라 스코어)
- 헌정, 계기: 비올라 연주자인 윌리엄 프림로즈의 의뢰로 작곡
- 초연 연도: 1949년 12월 2일
- 초연 장소: 미네아폴리스의 미네소타 대학 노슬롭 기념음악당
- 초연자: 윌리엄 프림로즈의 비올라, 안탈 도라티의 지휘, 미네아폴리스 교향악단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독주 비올라, 피콜로,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혼 3, 트럼펫 3, 트럼본 2, 튜바, 팀파니, 큰북, 작은북, 심벌즈 2(대/소), 현 5 부
악장 구성
- 1악장 Moderato, 소나타 형식
속도 표어와 악상 기호는 셀리에 의함. 1악장의 기음은 C. 독주 비올라가 제 1 주제의 선율을 제시. 주제의 첫머리 동기가 변주되면서 고조된 후 독주 비올라에 의하여 제 2 주제가 제시. 전개부에선 독주 비올라의 아르페지오, 더블 스토핑등의 기교와 짧은 카덴짜가 나타난 후 재현부로 이향. 정형적인 재현부 후 코다인 렌토 파를란도는 급속한 하행 음계의 패시지로 2악장으로 이어짐.
- 2악장 Adagio Religioso, 3부 형식
2악장의 기음은 E. 작곡의 피아노 협주곡 3번의 2악장을 연상시키는 악장. 역시 아타카로 3악장으로 이어짐.
- 3악장 Allegro vivace, 론도 형식
3악장의 기음은 A. A-B-A-C-B-A의 구조. 4마디의 뱀프 후 16분음표의 격한 A주제가 독주 비올라로 제시. 전합주로 B가 이어지고, 다시 독주 비올라의 A가 연주되면 느린 템포의 C가 제시되는어 오보에, 플루트, 클라리넷, 독주 비올라 순으로 모방되며 진행. B의 재현은 독주 비올라의 힘찬 더블 스토핑으로 장식되고, A가 회귀한 후에는 코다로 들어가 비올라의 최고 음역으로 상승하여 곡을 마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