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 교향곡 5번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 작곡 연도: 1931년 착수, 1932년 완성
  • 작곡 장소: 런던
  • 헌정, 계기: 시벨리우스(Jean Sibelius)에게 헌정됨. 중상류층의 가정에서 태어나 경제적인 어려움이 없었으며 1910년의 러시아 여행을 통해서 그의 작품에 많은 영감을 불어 넣게 됨. 또한 시벨리우스의 작품에도 많은 영향을 입음. 후기 낭만주의와 인상주의를 중심으로 작곡하였으며 교향곡들은 40분 정도의 연주 시간을 지님.
  • 초연 연도: 1934년 1월 15일
  • 초연 장소: 런던
  • 초연자: 토마스 비첨 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 3(제2, 제3은 피콜로 겸함),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3,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콘트라 바순, 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작은북, 중간북, 큰북, 글로켄슈필, 심벌즈, 탬버린, 트라이앵글, 하프, 현5부

악장 구성

  • 1악장 Poco lento. Allegro con fuoco. Moderato, C sharp단조. 긴 서주부를 지닌 소나타 형식.
- 서주는 e단조로 시작하며 팀파니와 콘트라베이스의 연주로 시작됨. 8분음표로 구성된 클라리넷의 동기는 서주 부분에서 자주 등장함.
- 제1주제는 바이올린과 비올라의 포르티시모의 연주로 진행함. 제2주제는 클라리넷의 반주 위에 제1바이올린이 조용하게 제시함. 제1주제가 다시 재현된 뒤에 제시부가 끝남.
- 전개부는 강렬한 제시부의 제1주제보다는 제2주제를 더욱 발전시킴. 클리리넷이 리듬을 제시하면 비올라가 제2주제를 변주형식으로 진행함. 이어서 베이스 클라리넷, 첼로, 오보에 독주로 이어짐.
- 재현부는 제시부의 제1주제가 다시 등장함. 이후 제2주제도 다시 연주됨.
- 종결부는 전개부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제1주제의 포르티시모로 시작함. 이후 첫머리의 서주 부분이 다시 등장한 후에 악장이 끝남.
  • 2악장 Poco lento, B flat단조. 3부 형식.
- 서주 부분은 트럼펫을 중심으로 시작함. 이후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의 주선율이 이어짐. 그리고나서 다른 악기들로 선율이 확장되면서 투티를 거침.
  • 3악장 Poco moderato. Allegro. Epilogue, D flat장조.
- A-B-A-Coda의 4부 형식으로 구성됨. 서주 부분은 8마디의 짧은 마디로 구성됨. 이후 주제가 플루트와 오보에로 연주됨.
- 비올라로 A부분의 특징적인 주제가 연주됨. 이후 트롬본으로도 주제 선율이 진행함.
- 제시부와는 반대로 중간부에서는 매우 조용한 선율이 진행됨.
- 다시 등장하는 A부분은 B부분의 선율도 잠시 등장함.
- 코다 부분은 베이스 클라리넷, 하프, 첼로로 4분음표의 분산 화음이 사용됨. 이후 포르티시모이 투티를 지나 전곡이 끝남.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