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푸가의 기법 BWV 1080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장르: 독주곡
  • 작곡가: 바흐 (BACH)
  • 작품명: 푸가의 기법 BWV 1080 (Die Kunst der Fuge (Art of Fugue) BWV 1080)

역사

  • 작곡 연도: 1742년경~1749년경
  • 작곡 장소: 쾨텐(Köthen)
  • 가사/대본/원작: 내용 없음
  • 출판/판본: 1751년 초판, 1752년 제 2 판, 구전집, 신전집
  • 헌정, 계기: 내용 없음
  • 초연 연도: 내용 없음
  • 초연 장소: 내용 없음
  • 초연자: 내용 없음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제 18 곡 클라비어 2, 다른 곡은 악기가 지정되지 않음

악장 구성

  • 제 1 곡 Contrapunctus 1

푸가의 기법의 모든 곡에 사용된 기본주제(A)의 원형을 푸가 주제로 사용. 표준적 4성 푸가.

  • 제 2 곡 Contrapunctus 2

1곡의 주제 끝부분과 대위선율이 점리듬으로 변하여 활동적인 느낌의 푸가

  • 제 3 곡 Contrapunctus 3

기본주제의 전개형을 주제로 함.

  • 제 4 곡 Contrapunctus 4

3곡의 주제와 응답주제의 위치를 교체하여 진행. 변조를 통환 변화를 가짐.

  • 제 5 곡 Contrapunctus 5

주제가 그 반행형에 의해 응답되는 반행푸가. 기본주제의 변형적 반행형을 주제로 사용.

  • 제 6 곡 Contrapunctus 6, a 4, im Stile francese

'프랑스 양식에 의한' 이라고 악보에 표기된 4성부곡. 반행푸가로서 기본주제의 변형적 정상형이 사용.

  • 제 7 곡 Contrapunctus 7, a 4, per Augmentationem et Diminutionem

확대와 축소에 의한 4성부곡. 반행푸가의 마지막부분으로 3가지 반행형을 사용하여 복잡해진 형태.


  • 제 8 곡 Contrapunctus 8, a 3

두개의 새로운 주제(B, C)가 등장하고 기본주제의 반행형의 변형주제가 더하여 3개의 주제를 사용하고 159마디부터 3주제가 함께 구성됨.


  • 제 9 곡 Contrapunctus 9, a 4, alla Duodecima

12도의 2중 대위법에 의한 푸가. 새로운 주제(D)와 기본주제의 변형주제를 사용. D주제를 12도 이동하여 양주제의 상하관계를 바꾸어도 작곡법상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고안된 대위법을 사용.


  • 제 10 곡 Contrapunctus 10, a 4, alla Decima

새로운 주제(E)와 기본주제의 반행형의 축소변형의 주제가 사용되는 2중 푸가. 10도의 2중 대위법 사용.

  • 제 11 곡 Contrapunctus 11, a 4

8곡의 3주제의 반행형을 사용. C주제의 반행형이 3주제로서 제 93마디부터 B(내림나)-A(라)-C(다)-H(나)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주목할만한 모습이 발견됨.

  • 제 12 곡 Contrapunctus 12a & Contrapunctus 12b

대칭푸가 그룹의 첫번째 곡으로 기본주제의 변형에 기초를 둔 4성 푸가. 푸가의 두가지 형태가 완전히 반대의 관계에 있어도 대위법적 규칙을 위반하지 않고 음악이 성립되는 작곡학적으로 흥미로운 모습을 보여줌.

  • 제 13 곡 Contrapunctus 13a Contrapunctus inversus & Contrapunctus 13b & Contrapunctus 19 unfinished

기본주제의 변형에서 유래한 주제.

  • 제 14 곡 Canon 14 per Augmentationem in Contrario motu

반행카논그룹의 첫번째 곡. 기본주제에서 유래한 선율 두마디 뒤로, 그 선율의 반행형 시가를 두 배로 확대한 후속선율이 이어짐.

  • 제 15 곡 Canon 15 alla Ottava

카논곡중 가장 단순한 형태로 기본주제 반행형의 변형 선율이 옥타브로 모방되는 카논.

  • 제 16 곡 Canon 16 alla Decima Contrapuncto alla Terza

3도의 2중 대위법에 의한 10도 카논. 기본주제 반행형의 변형에 유래한 선율이 10도의로 옮겨진 형태로 뒤쫓는 형태. 40마디부터 상성부가 3도 낮아지면서 옥타브 카논으로 변형.

  • 제 17 곡 Canon 17 alla Duodecima in Contrapuncto alla Quinta

5도의 2중 대위법에 의한 12도 카논의 형태에서 34마디부터 양성부가 진행순서를 바꾸고 상성부가 4도 위로 옮겨져 21도 옥타브 카논으로 변형.

  • 제 18 곡 2대의 클라비어를 위한 푸가

13곡을 2대의 클라비어용으로 편곡한 것. '푸가의 기법' 전체에서 제외 시키는 경우도 있음.

  • 제 19 곡

3개의 주제를 기본으로 한 3중 푸가로 기입되어 있으나 미완성으로 기본주제의 모습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대로의 모습으로는 '푸가의 기법'에 속하지 못한다 할 것임. 추측컨데 기본주제에서 유래한 주제가 포함된 4중 푸가의 형태로 구상되었을 것으로 사료됨.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