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2권 BWV 870-893
- 장르: 독주곡
- 작곡가: 바흐 (BACH)
- 작품명: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2권 BWV 870-893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2 BWV 870-893)
역사
- 작곡 연도: 1744년 완성
- 작곡 장소: 라이프치히(Leipzig)
- 출판/판본: 초판: 1801년
- 헌정, 계기: 작곡 연대가 서로 다른 곡들이 섞여 있어서 양식적인 통일성은 두드러지지 않으나 대신 다양성이 뛰어남.
- 초연 연도: 알 수 없음
- 초연 장소: 알 수 없음
- 초연자: 알 수 없음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독주 건반악기
악장 구성
- No. 1 in C major BWV 870
Prelude, 오르간 형식의 곡으로 쾨텐 시절에 쓴 이 작품의 원형이 남아 있음. 그 원형으로부터 음형이 확대되고 수정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괴텐 시절에 쓴 원형이 남아 있으며 직접 작곡가의 운지법이 표기됨.
- No. 2 in C minor BWV 871
Prelude, 알르망드 형식으로 12마디와 16마디로 구성된 2부 형식이며 2성부 인벤션과 유사함. Fugue, 4성부로 구성되었지만 전개는 주로 3성부로 이루어짐. 19마디 이후, 제4성부인 베이스가 오르간처럼 연주 효과를 표현하면서 주제를 확대함.
- No. 3 in C Sharp major BWV 872
Prelude, 원곡에서는 단순한 화음으로 진행하며 펼침화음의 음형화도 연주자에게 맡겨짐.후반에는 푸게타가 존재하며 이로써 이 전주곡만으로도 프렐류드와 푸가를 이룸 Fugue, 3성부로 구성됨. 제시부가 스트레토로 제시되며, 주제는 이곡의 균형만 유지할뿐 별로 푸가적인 진행을 가지지는 않는다.
- No. 4 in C Sharp minor BWV 873
Prelude, 3성부로 진행하며 장식음과 긴밀한 주제의 제시를 통해서 진행함. Fugue, 3성부로 구성됨. C단조에서 조옮김되어 평균율 곡집에 포함됨. 2개의 주제가 사용된 2중 푸가 형식임.
- No. 5 in D major BWV 874
Prelude, 관현악 모음곡을 연상시키는 트럼펫 팡파르 선율이 사용됨. 초기 소나타 형식이 사용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칸타타의 서곡에 이어지는 합창 푸가와 유사한 형식임.
- No. 6 in D minor BWV 875
Prelude, 작곡가의 초기 작품이 개작되었으며 원형은 단 2마디밖에 존재하지 않았음. Fugue, 3성부로 구성되었으며 옥타브에서 으뜸음으로 하강하는 프렐루드 주제를 이어받아서, 상승하는 선율로 진행함.
- No. 7 in E flat major BWV 876
Prelude, 류트 모음곡의 제1곡과 유사한 부분이 있으며 고전 소나타 형식이 사용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스트레타 등의 대위법적 기법을 사용하여 진행함, 성악적인 리체르카르 스타일의 푸가이다.
- No. 8 in D Sharp BWV 877
Prelude, 알르망드 형식(16마디-20마디)으로 구성된 2성부 인벤션임. 28마디 이후에는 재현부가 짧게 등장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아름다운 선율의 주제로 푸가를 이룸. 마지막의 복진행은 매우 특이하다.
- No. 9 in E major BWV 878
Prelude, 3성부로 구성되었으며 전반부와 후반부에 반복기호를 지닌 2부 형식으로 진행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주제는 J.C.F.피셔의 아리아드네 무지카에서 발췌하였다,Stile Antico 푸가이다.
- No. 10 in E minor BWV 879
Prelude, 쿠랑트의 이탈리아적인 변형인 코렌테와 유사한 특징을 지닌 2성부 인벤션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다양한 주제와 동기로 구성된 선율과 대위법적인 진행으로 이루어진 곡임.
- No. 11 in F major BWV 880
Prelude, 5성부로 구성된 화성으로 진행함. 이후 피규레이션이 포함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주제는 옥타브 도약과 스타카토 형식으로 제시됨,지그 스타일의 푸가이다.
- No. 12 in F minor BWV 881
Prelude, 화성적인 진행이 두드러지는 곡임. Fugue, 3성부로 구성되었으며 평범한 대위법을 사용하여 전개됨. 간주부는 협주곡스타일로 진행함.
- No. 13 in F sharp major BWV 882
Prelude, 프랑스 서곡 형식의 리듬이 사용됨.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는 고전적인 협주곡 형식이 사용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이끔음으로 주제가 제시되며 간주부는 가보트 리듬으로 구성됨.
- No. 14 in F Sharp minor BWV 883
Prelude, 3부분(1-12마디, 13-30마디, 31-43마디)으로 구성되었으며 협주곡의 느린 악장과 유사함. Fugue, 3성부로 구성됨. 3개의 주제를 가진 3중 푸가 형식임.
- No. 15 in G major BWV 884
Prelude, 푸가 부분의 전주곡 부분으로 사용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펼침화음으로 구성된 2개의 대위적인 주제가 사용됨.
- No. 16 in G minor BWV 885
Prelude, 4성부로 구성되었으며 점리듬을 사용하여 오르간 형식의 곡과 유사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주제와 대위의 방법이 일반적인 옥타브와 함께 2중 대위법을 사용하여 풍부한 화성감을 표현함.
- No. 17 in A flat major BWV 886
Prelude, 협주곡 형식의 곡으로 주제는 4마디로 제시됨. 조옮김과 리토르넬로 형식이 사용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옥타브 이상의 음역으로 진행함. 제2주제는 반음계적인 대위법으로 진행함.
- No. 18 in G sharp minor BWV 887
Prelude, 짧은 재현부를 지닌 2부분{24마디 - 26마디(16마디+10마디)}의 소나타 형식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제1주제와 함께 반음계적으로 진행하는 제2주제(61마디 - 65마디)로 구성된 2중 푸가 형식임.
- No. 19 in A major BWV 888
Prelude, 3성부 인벤션의 파스토랄풍의 곡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짧고 단순한 구성의 곡임.
- No. 20 in A minor BWV 889
Prelude, 16마디씩 각각 반복기호를 지닌 2부분 형식으로 구성된 인벤션임. 제2부의 주제는 반행형(inversion)으로 제시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빠른 템포의 대위법적인 진행으로 구성됨 항상 주제는 2개의 고정 대주제를 수반한다.
- No. 21 in B flat major BWV 890
Prelude, 제시부(1-32마디), 발전부(33-48마디), 재현부로 구성됨. 제시부 제2주제는 9-16마디에서 제시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2부 형식으로 진행하며 제2부는 41마디부터 시작하며 2개의 새로운 주제가 등장하여 3중푸가형식으로 반전한다.
- No. 22 in B flat minor BWV 891
Prelude, 대위법적인 3성부의 자유로운 푸가형식의 인벤션임. Fugue, 4성부로 구성됨. 특징적인 주제와 반음계적인 진행을 보임, 이곡은 이곡집에서 가장 복잡한 푸가중 하나이다.
- No. 23 in B major BWV 892
Prelude, 토카타 형식의 곡임. 2부분으로 나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상승하는 제1주제와 하강하는 제2주제의 대위법으로 구성된 2중 푸가 형식임.
- No. 24 in B minor BWV 893
Prelude, 협주곡 형식으로 진행하는 2성부 인벤션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갈랑트스타일의 푸가이며, 제시부이후 새로운 대위주제가 수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