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권 BWV 846-869
- 장르: 독주곡
- 작곡가: 바흐 (BACH)
- 작품명: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1권 BWV 846-869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1 BWV 846-869)
역사
- 작곡 연도: 1722년 완성
- 작곡 장소: 쾨텐(Köthen)
- 출판/판본: 초판: 1801년
- 헌정, 계기: 프렐류드와 푸가로 구성되었으며 음악 학습을 위한 초심자나 숙련된 사람을 위해 작곡됨.
- 초연 연도: 알 수 없음
- 초연 장소: 알 수 없음
- 초연자: 알 수 없음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독주 건반악기
악장 구성
- No. 1 in C major BWV 846
Prelude, 즉흥적인 형식으로 구성된 부분이며 일정한 틀은 없으나 작곡가의 경우 3가지로 나뉨. 음형 장식형, 칸틸레나형, 인벤션형으로 구분됨. 5성체의 화음연결을 중심으로 펼침화음으로 진행함. Fugue, 다양한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일정한 구분은 없음. 주제 부분이 포함된 양에 따라서 집약형, 이완형으로 나뉨. 이 곡은 4성부로 구성됨.
- No. 2 in C minor BWV 847
Prelude, 25마디로 구성됨. Presto - Adagio - Allegro로 구성된 토카타 형식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제시부 이후 주제는 가끔씩 나타남.
- No. 3 in C sharp major BWV 848
Prelude, 작곡가의 "프리데만을 위한 클라비어 소곡집"에서 전용됨. 후반부는 나중에 가필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가보트 형식의 주제가 대조적으로 진행함.
- No. 4 in C sharp minor BWV 849
Prelude, 칸틸레나 형식으로 첫부분 동기와 5마디의 동기가 각 성부에 등장함. Fugue, 5성부로 구성된 3중 푸가 형식. 3개의 주제가 집약형으로 구성됨.
- No. 5 in D major BWV 850
Prelude, 4성부로 화성이 진행하며 18마디 이후는 보필됨. Fugue, 4성부로 구성되었으며 프랑스 서곡 형식의 점리듬과 32분음표로 진행함.
- No. 6 in D minor BWV 851
Prelude, 즉흥적인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14마디 이후의 제2부는 보필됨. Fugue, 3성부로 구성된 푸가 형식임. 주제가 반행형(inversion)으로 자주 등장함. 21마디에서 나누어지는 2부 형식으로 구성됨.
- No. 7 in E flat major BWV 852
Prelude, 짧은 서주가 포함된 규모가 큰 푸가 형식임. Fugue, 3성부로 구성된 주제가 드물게 등장하는 이완형 구성임.
- No. 8 in E flat minor BWV 853
Prelude, 느린 템포로 선율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칸틸레나 형식의 구조임. Fugue, 3성부로 구성된 그레고리오 성가 형식의 주제가 각 성부에 나타남.
- No. 9 in E major BWV 854
Prelude, 주제가 폴리포니적으로 전개되는 인벤션 형식임. 3부분으로 구성됨. Fugue, 3성부로 구성됨. 주제에 대위적인 16분음표 선율이 중심이 됨.
- No. 10 in E minor BWV 855
Prelude, 느린 템포 때문에 협주곡의 느린 악장과 유사함. Fugue, 2성부로 구성되었으며 푸가지 형식이지만 유니즌으로 선율이 진행함.
- No. 11 in F major BWV 856
Prelude, 아르페지오로 연주되는 2성부 인벤션 형식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파스피에의 리듬으로 연주됨. 후반부에는 스트레타 등이 사용됨.
- No. 12 in F minor BWV 857
Prelude, 단순한 3화음의 펼침음형으로 진행함. Fugue, 4성부로 구성되었으며 대조적인 2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함.
- No. 13 in F sharp major BWV 858
Prelude, 단순한 화성진행을 기반으로 펼침화음이 진행되는 음형 장식형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주제에 이어서 간주부가 많으며 2개의 주제로 진행함.
- No. 14 in F sharp minor BWV 859
Prelude, 2성부로 구성된 인벤션 형식임. Fugue, 4성부로 구성됨. 주제 부분이 늘어나서 주제가 빈번히 사용되지 않으며 40마디로 된 곡은 20마디에서 2부분으로 나뉨.
- No. 15 in G major BWV 860
Prelude, 13마디 이후는 나중에 보필됨. Fugue, 3성부로 구성되었으며 6/8박자 춤곡 형식으로 반행형(inversion), 스트레타가 자주 등장함.
- No. 16 in G minor BWV 861
Prelude, 3성부로 구성됨. 작곡가의 바이올린 협주곡 느린 악장과 유사함. Fugue, 4성부로 구성됨. 2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함.
- No. 17 in A flat major BWV 862
Prelude, 협주곡 양식인 리토르넬로 형식으로 진행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주제와 대조적인 16분음표의 동기를 중심으로 진행함.
- No. 18 in G sharp minor BWV 863
Prelude, 3성부 인벤션 형식임. Fugue, 4성부로 구성됨. 간주부는 주제 동기를 중심으로 호모포닉하게 진행함.
- No. 19 in A major BWV 864
Prelude, 3개의 주제로 구성된 3성부 인벤션 형식임. Fugue, 3성부로 구성됨. 9/8박자로 처음부터 스트레타가 사용되며 중간에는 16분음표의 선율로 진행함.
- No. 20 in A minor BWV 865
Prelude, 토카타 형식으로 진행함. Fugue, 4성부로 구성됨. 규모가 크며 대위 기법을 충실히 사용함.
- No. 21 in B flat major BWV 866
Prelude, 토카타 형식으로 진행하며 화음의 대조나 조옮김을 중심으로 연주함. Fugue, 춤곡 형식의 주제로 진행하며 2개의 대위 악구를 중심으로 진행함.
- No. 22 in B flat minor BWV 867
Prelude, 오르겔풍크트가 전곡에 등장하며 감7화음으로 페르마타의 고조 부분이 나타남. Fugue, 5성부로 구성되었으며 스트레타가 자주 사용됨.
- No. 23 in B major BWV 868
Prelude, 3성부 인벤션 형식으로 구성됨. Fugue, 4성부로 구성됨. 주제는 변주형식으로 진행함.
- No. 24 in B minor BWV 869
Prelude, 통주저음 형식의 베이스 선율 위에 2개의 상성부가 카논 형식으로 진행함. Fugue, 4성부로 구성됨. Largo로 지시된 템포로 느리게 전곡을 마무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