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흐: 영국 모음곡 1번 A장조 BWV 806
역사
- 작곡 연도: 1717년 이전
- 작곡 장소: 바이마르(Weimar) 혹은 쾨텐(Köthen)
- 헌정, 계기: 6곡의 전주곡의 형식적인 면과 영국 작곡가의 영향을 받은 점 그리고 어떤 고귀한 영국인을 위해 만들었다는 가설(바흐의 첫 번째 전기를 쓴 포르켈)등의 이유로 "영국 모음곡"이라는 부제는 18세기 후반부터 통용됨.
- 초연 연도: 알 수 없음
- 초연 장소: 알 수 없음
- 초연자: 알 수 없음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독주 건반악기
악장 구성
- 1곡 Prélude, A장조 4/4박자, 토카타 형식의 서주 이후에 4성부가 대위법적으로 진행됨. 여기서 사용되는 주제는 영국 작곡가 듀파르(Charles Dieupart)의 모음곡 중, 지그에서 모방한 음형을 사용함.
- 2곡 Allemande, A장조 4/4박자, 장식음을 사용하여 진행하며 2부 형식으로 구성됨.
- 3곡 Courante, A장조 3/2박자, 전체 곡은 제1 쿠랑트 - 제2 쿠랑트 - 제1 두브르 - 제2 두브르 형식으로 구성됨. 모두 프랑스 형식의 리듬을 사용함.
- 4곡 Sarabande, A장조 3/4박자, 2번째 박자를 긴 음표를 사용하는 사라반드 형식의 특징을 지님. 이 선율은 "크리스마스 오라토리오 BWV 248"에서도 다시 사용함.
- 5곡 Bourrée, A장조 2/2박자, 전체 곡은 제1 부레 - 제2 부레 - 제1 부레의 형식으로 구성됨. 모두 2성부의 선율로 대위법적으로 진행함.
- 6곡 Gigue, A장조 6/8박자, 2성부로 진행하며 2부 형식으로 구성됨. 제2부에서는 작곡가의 다른 지그와 유사한 형식으로 제1부의 주제를 그대로 사용하는 특징을 나타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