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리고: 아란후에스 협주곡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로드리고 최고의 작품. 기타는 음량이 작아 대편성 오케스트라와 협연하기에 적합치 않을 것이라는 통념을 깨고 대성공을 거둔 20세기 기타 음악의 기념비적 음악.

1980년대에 2악장이 KBS TV의 '토요 명화' 시그널 음악으로 쓰인 바 있어 유명하다 (참고로 당시 MBC '주말의 명화'의 시그널 음악은 영화 "Exodus (영광의 탈출)"의 주제가).

역사

아란후에스 왕궁
  • 작곡 연도: 1939년 완성, 로드리고는 파리에서 유학했고, 스페인 시민 전쟁 시대 (1936-39)에 주로 독일의 프라이부르크에서 보내면서 이 곡을 써나가다, 종전후 마드리드로 돌아와 완성했다.
  • 작곡 장소: 프라이부르크, 마드리드, 파리
  • 헌정, 계기:

곡명의 아란후에스는 스페인에 있는 도시의 이름으로 수도 마드리드로부터 48km 남쪽에 위치한 고원지대이나 드물게 오아시스가 있고 그 곳에 16세기 이래 스페인 왕실의 별궁이 세워졌고, 현재 관광지로 사용되고 있다.

작곡가는 아란후에스 왕궁에 있는 정원에 영감을 받아, 이 작품에서 18세기 스페인 궁정의 모습을 그려보려고 했다고 한다.

  • 초연 연도: 1940년 11월 9일
  • 초연자: 사인스 데 라 마사 (Regino Sainz de la Maza) (기타), César Mendoza Lasalle (지휘), Orquesta Filarmónica de Barcelona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편성: 독주 기타, 플루트2 (피콜로를 겸함), 잉글리시 호른, 오보에2, 클라리넷2, 파곳2, 호른2, 트럼펫2, 현 5부

악장 구성

1악장

Allegro con spirito, D장조, 6/8박자, 소나타 형식

6/8박자 중에 3/4박자가 포함된 스페인 민속 음악적인 특징적인 리듬이 악장 전체를 지배. 1주제는 바이올린과 오보에로, 2주제는 기타에 의하여 G장조로 제시.

  • 작곡가의 설명에 의하면,
"animated by a rhythmic spirit and vigour without either of the two themes... interrupting its relentless pace"

2악장

Adagio, B단조, 4/4박자, 5개 부분으로 나뉜 가요 형식 (A - B - A' - C - A")

각 부분이 유사성이 강하여 A에 의한 변주곡 형식으로 분석할 수도 있음. B단조의 기타 아르페지오의 규칙적인 진행위로 잉글리시 호른이 주제를 제시. 카덴차와 코다를 포함.

  • 작곡가의 설명에 의하면,
"represents a dialogue between guitar and solo instruments (cor anglais, bassoon, oboe, horn etc.)"

3악장

Allegro gentile, D장조, 2/4박자+3/4박자, 론도 형식

4개의 에피소드를 가진 론도의 형태로 전개. 2악장에서 이어받은 B장조와 D장조의 대위법적 2성부의 주제.

  • 작곡가의 설명에 의하면,
"recalls a courtly dance in which the combination of double and triple time maintains a taut tempo right to the closing bar"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외부 링크

영문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