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흐마니노프: 교향곡 1번 D단조 op. 13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 작곡 연도: 1895년 1월 ~ 10월 7일
  • 작곡 장소: 러시아 탐보프(Tambov) 근처의 이바노프카(Ivanovka)
  • 헌정, 계기: 작곡가의 미숙한 오케스트레이션 외에도 정치적인 영향들로 인해서 초연은 실패로 끝남. 이는 작곡가에게 심각한 정신적인 충격을 남겼으며 생전에는 두번 다시 이 곡이 연주되지 못함.
  • 초연 연도: 1897년 3월 28일
  • 초연 장소: 상트페테르부르크(Saint Petersburg)
  • 초연자: 글라주노프(Alexander Glazunov) 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플루트(제1은 피콜로 겸함) 3,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4, 트럼펫 3, 튜바, 팀파니, 트라이앵글, 작은북, 큰북, 탬버린, 심벌즈, 탐탐, 현5부

악장 구성

  • 1악장 Grave — Allegro non troppo, 도입부가 있는 주요부로 구성된 소나타 형식. 도입부의 짧은 악구는 전악장의 기본 동기로도 사용됨. 제1 주제는 클라리넷 독주가 제시함. 제2 주제는 오보에가 제시함. 발전부는 제1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함. 재현부는 자유로운 형식으로 진행하며 코다에서도 제1 주제를 중심으로 연주됨.
  • 2악장 Allegro animato, F장조 론도 형식(A-B-A-C-A-B-A-코다)으로 구성됨. 1악장 도입부의 악구로 시작하며, 약음기를 사용한 제1 바이올린으로 주제를 연주함.
  • 3악장 Larghetto, 3부 형식. 1악장 도입부 악구로 시작하며, 클라리넷으로 제1부의 주제가 제시됨. 이어 오보에, 플루트, 제1 바이올린 순으로 진행함. 중간부의 주제는 호른의 싱커페이션 음과 현악기의 선율로 제시됨.
  • 4악장 Allegro con fuoco, D장조 복합 3부 형식. 1악장 도입부의 악구가 길게 구성되었음. 현악기로 제시되는 제1 주제는 1악장 제1 주제를 좀 더 발전시킨 형태로 구성됨. 뚜렷한 형식적인 구분이 없으며 각 악장에 쓰인 여러가지 악구들이 사용됨.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