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보르자크: 현악 4중주 13번 G장조 op. 106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 장르: 실내악
  • 작곡가: 드보르자크 (DVORAK)
  • 작품명: 현악 4중주 13번 G장조 op. 106 (String Quartet No. 13 in G major op. 106)

역사

  • 작곡 연도: 1895년 11월 ~ 12월 9일 완성
  • 작곡 장소: 프라하
  • 출판/판본: 1896년 베를린의 짐로크 출판사
  • 헌정, 계기: 아메리카에서 다시 프라하로 돌아와 프라하 음악원에 복귀하면서 다시 작품활동을 재개한 무렵, 현악 4중주 14번과 함께 실내악 작곡의 종지부를 찍은 곡. 조국으로 돌아온 만족감이 나타나 있음.
  • 초연 연도: 1896년 10월 9일
  • 초연 장소: 프라하에서 열린 체코 실내악 협회의 연주회
  • 초연자: 체코 현악 4중주단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바이올린 2, 비올라, 첼로

악장 구성

  • 1악장 Allegro moderato, G장조, 2/4박자, 소나타 형식.

즐거움에 넘치는 악장으로 2주제에서 잠시 E단조를 거쳐 다시 B flat장조가 되면서 대비적인 즐거움과 만족감을 표현.

  • 2악장 Adagio, ma non troppo, E flat장조, 3/8박자.

서로 밀접한 관계를 지닌 두 주제에 의한 자유로운 변주. 쇼레크에 의하면 '이 작품의 정점을 이루는 부분에서 드보르자크의 손으로 씌여진 가장 사랑스럽고, 최고의 깊이를 가진 느린 악장의 하나' 라고 평가함.

  • 3악장 Molto vivace, B단조, 3/4박자, 스케르초.

체코의 민속 무곡 스코치나의 특징을 엮어 넣은 스케르초로 트리오는 D장조.

  • 4악장 Finale. Andante sostenuto, 4/4박자 - Allegro con fuoco, G장조, 2/4박자.

6마디의 도입부에 이어 특징적 싱코페이션 등의 체코 민속 무곡 프리안트가 가미된 중심 주제가 나타나고, 이를 중심으로 불규칙적 론도로 구성. 자유로운 느낌 속에서 1악장의 2주제와 1주제의 회상을 삽입시켜 전체곡의 통일감을 줌.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