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보르자크: 교향곡 4번 D단조 op.13

고클래식 위키사전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 작곡 연도: 1874년 1월 1일~3월 26일
  • 작곡 장소: 프라하
  • 출판/판본: 1912년
  • 헌정, 계기: 오스트리아 정부의 작곡 장학금을 받기 위해 작곡함. 보헤미아적인 색채감보다는 보편적인 정서를 표현하였으며, 악상을 잘 정리하고 대위법적인 면을 잘 부각시킴.
  • 초연 연도: 3악장만 1874년 5월 25일. 전곡은 1892년 3월 6일.
  • 초연 장소: 3악장은 프라하, 아카데미 연주회. 전곡은 프라하에서 연주됨.
  • 초연자: 3악장은 스메타나 지휘, 전곡은 작곡자 지휘

악기 편성/성악가/등장인물

피콜로 2,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파곳 2, 호른 4, 트럼펫 2, 트롬본 3, 팀파니, 큰북, 트라이앵글, 심벌즈, 하프, 현5부

악장 구성

  • 1악장 Allegro, 3/4 박자, D 단조, 소나타 형식. 제1 주제는 3악장 후반에서도 쓰임. 제2 주제는 반복적으로 쓰여져서 클라이맥스를 이룸. 전개부는 제시부의 주제가 다시 쓰이면서 코다를 마무리함.
  • 2악장 Andante sostenuto e molto cantabile, 4/4 박자, B flat 장조, 변주곡 형식. 최초의 주제는 바그너 '탄호이저'의 '순례의 합창'의 영향을 받음.
  • 3악장 Scherzo (Allegro feroce), 6/4 박자, D 단조. 페로체는 거칠고 야성적이라는 의미임. 타악기와 하프가 사용되며 중간의 트리오, 2/4 박자, C 장조는 보헤미아적인 색채를 띰.
  • 4악장 Finale: Allegro con brio, 2/4 박자, D 단조, 론도 형식. 대비적인 구조를 취함. 소나타 형식에 가까운 론도 형식임.

디스코그래피

고클래식 디스코그래피

음악 다운로드

고클래식 WAV파일 다운로드 서비스